섬유 관련 7개사 가동중단 피해 불가피 / 근로자 귀환 등 추진 속 보상규모 촉각
정부가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발사에 대응해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결정을 내리자 공단에 입주한 전북도내 업체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지난 2013년에 이어 또다시 3년도 안돼 가동 중단이라는 난관에 재 직면하면서 직·간접적인 피해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11일 전북도와 도내 기업들에 따르면 개성공단에 입주한 전체 124개 기업 중 본사가 도내에 위치한 기업은 섬유 제품과 관련된 7개사다.
지역별로는 전주에 5개 업체, 익산과 김제에 각각 1개 업체씩이며, 이들 업체가 고용한 북측 현지 근로자들은 모두 2060여명 정도다.
전날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 중단 방침 소식이 전해지고 이날부터 북측 근로자들이 출근하지 않아 공단 내 조업은 완전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불안한 설 연휴를 보낸 도내 업체들은 2013년 4월 이후 2년 10개월 만에 또 다시 전해진 가동 중단이라는 청천벽력같은 소식에 남측 근로자(주재원) 귀환과 완제품, 원자재 회수를 위해 전전긍긍하고 있다.
대부분 업체들은 아침 일찍부터 대책회의를 갖거나 경기 파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를 통해 회수 트럭을 보내는 등 바쁜 하루를 보냈다.
그러나 북한 측이 입주기업들의 물자 반출을 불허해 향후 사태추이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일단 기업들은 평소 1~3명 정도였던 주재원들을 업체당 1명씩 남겨두고 철수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개성공단에 490명의 현지근로자를 고용하고 모든 생산라인이 개성공단에 있는 전주시 소재 A업체 관계자는 “전주 본사에서는 사실상 샘플 제작과 공장 관리만 한다. 사실상 모든 생산라인은 개성에 있다고 봐야 한다”며 “일단 아침 일찍 자재와 완제품을 싣기 위해 트럭 한대를 파주를 통해 보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2013년에도 수억원의 피해를 입었는데 어느 한 곳에서도 보상해 주지 않았다”며 “이번에는 또 얼마나 많은 피해가 나올지 걱정이며, 하청 업체들에게도 뭐라 말할지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360여명의 현지근로자를 고용 중인 익산 소재 B업체 역시 아침 일찍부터 긴급 대책회의를 갖고 향후 철수 계획 등을 논의 했다.
이번 개성공장 가동 중단에 망연자실한 모습을 보인 C업체 관계자는 “2013년에는 북한 때문에 생산가동이 중단됐지만 이번에는 우리가 먼저 중단한다고 하니 원망이 더 클 수밖에 없다”며 정부에게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업체들은 일단 정부에서 발표하는 실질적 피해보상 규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지만 직접적 피해 보상 외 간접적 피해 보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경영상 입을 큰 타격을 우려하고 있다.
대부분 업체들이 OEM방식 생산체제여서 가동중단으로 인해 기존 바이어들이 떨어져 나갈 경우 이를 상쇄할 정부의 지원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회복 불능이란 벼랑 끝에 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전북도는 도내 업체들이 대체생산지역 알선을 요청할 경우 도내 산업단지로 이전토록 하는 등 정부 세부지원방안 발표에 따라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정무부지사 주재로 입주업체 애로사항 청취를 위한 간담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