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10명 중 3명은 스마트폰으로 인한 금단, 내성, 일상생활 장애 등을 겪는 중독(과의존) 위험군인 것으로 조사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함께 만 3∼59세 스마트폰 및 인터넷 이용자 1만8500명을 대상으로 ‘2015년 인터넷 과의존(중독)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는 지난해 9∼10월 대인면접 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 중 2.4%(86만2000명)가 고위험군, 13.8%(494만6000명)는 잠재적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군은 스마트폰으로 인한 금단·내성·일상생활 장애 등 세 가지 증상을 모두 보이는 경우에 해당하며 잠재적위험군은 이 중 1∼2가지 증상을 보이는 경우다.
전년과 비교해 고위험군은 0.4%포인트, 잠재적위험군은 1.6%포인트 각각 증가했다.
청소년에 국한할 경우, 고위험군은 전년보다 0.7%포인트 늘어난 4.0%, 잠재적위험군은 1.7%포인트 증가한 27.6%였다.
10명 중 3명이 과의존 위험군에 속하는 셈인데 이는 성인(고위험군 2.1%·잠재적위험군 11.4%)의 약 2배 수준으로 청소년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더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의 하루 평균 사용시간은 4.6시간(275분)으로 스마트폰이 생활 속에 깊숙이 침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군은 5.2시간(315분), 잠재적위험군은 5.0시간(299분)으로 사용시간이 더 길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