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강특위 "총선 참패 엄격 실사 공모에 반영" / 김종인 "오래 직에 계신 분 솎아낼 수 있어야"
더불어민주당(이하 더민주) 조직강화특별위원회(이하 조강특위)가 4·13 총선에서 참패한 지역에 대해 강도 높은 칼날을 들이대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전북지역에서 지역위원장을 노리는 더민주 낙선 의원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더민주 조강특위는 25일 다음달 1~3일 지역위원장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언주 조강특위 부위원장은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대선을 함께 준비할 수 있는 참신한 인재를 널리 공모하기로 했다” 며 “특히 4·13 총선에서 참패한 지역에 대해서는 엄격한 실사를 하고, 그 결과를 공모 심사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가 지난 16일 열린 조강특위 첫 회의에서 “당선된 의원들이 각 지역의 위원장을 맡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때문에) 실패한 지역구에 대해서는 엄밀한 심사가 이뤄져야 한다. 가급적이면 너무 오래 직을 갖고 계신 분들은 솎아낼 수 있는 용기를 가지고 운영해 달라”고 했던 발언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특히 이날 회의에선 호남지역의 경우 지역위원장부터 참신한 인사로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선거에서 패한 전북 8개 지역의 지역위원장에 도전하는 낙선 의원들이 긴장하고 있다.
전북 정치권 관계자 A씨는 “총선 후보자였던 사람들 사이에 분위기가 좋지 않다” 며 “아무래도 그 쪽(조강특위)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고 하면 반가운 일은 아니다”고 말했다.
지역위원장 후보자를 대상으로 한 심사절차도 낙선 의원들에겐 큰 난관이다.
통상적으로 지역위원장 공모가 끝나면 공모결과를 놓고 심사 원칙을 정하게 되며, 이때 단수 위원장과 복수위원장을 선출할 지역을 분류해 현장 실사를 진행한다. 현장 실사란 중앙당 당직자가 한 지역에 내려가 후보자의 지역 활동 상황, 지역 민심, 총선 때 득표율 등을 확인하는 절차다.
낙선 의원들 입장에선 현장 실사가 강화될 경우 지역위원장 당선에 어려움이 있다는 분석이다.
정치권 관계자 B씨는 “예전에는 현역 국회의원들이 많다 보니까 지역 위원장 심사에 대해 잣대를 강하게 대지 않았다. 아무래도 이번에 낙선자들이 많고 낙선한 지역에서 복수의 지역위원장 신청자가 나오게 되면 아무래도 기준이 강화될 수 없다. (더민주 입장에서 봐도 전북의 경우) 현장에서 참패를 했기 때문에 다음 총선까지 지역위원회를 잘 꾸려갈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인재를 뽑아야 한다는 생각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