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러스터 지정 1년에도 산업 여건 전국 최하위권 / 드론 등 농업인 요구 높은 제품 실용화 실적 내야
전북도 ‘농생명 SW 융합클러스터’가 지정된 지 1년이 지난 가운데 SW 융합산업 활성화를 위해 규모 있는 앵커기업(선도기업) 유치와 기술 창업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전북도는 매달 한 차례씩 경제산업국장 주재로 투자유치 전략회의를 열고 기업 유치와 기술 창업을 유도하기로 했다. 가칭 ICT 농생명협의체를 구성해 농생명 SW 융합클러스터 사업과 삼락농정 2020 사업을 연계하고, 이를 IT·SW 기업 성장 기회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전북도는 7일 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농생명 SW 융합클러스터 추진 상황과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제시된 농생명 SW 융합클러스터의 주요 성과로는 본사 이전 3건, 자회사 설립 2건, 연구소 설치 1건 등 기업 유치 6건을 비롯해 창업 6건 등이다. 1차 연도에는 모두 68개 기업이 창업 교육, 기술사업화 등 농생명 SW 융합클러스터 사업 지원을 받았다.
전북의 IT·SW 사업체는 333개(전국 대비 1.37%), 종사자는 6468명(0.69%), 생산액은 2조 500억 원(0.45%) 등으로 IT·SW 산업 여건이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최하위권에 속한다. 특히 농생명 분야 IT·SW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다.
회의에서는 현장 친화적인 기술과 제품 개발로 상용화 실적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기존 스마트 농업은 농업 전문성과 현장 이해도 등이 부족한 IT 업체가 단독으로 추진해 농업인의 만족도와 파급 효과가 미미했다.
이와 관련 전북도는 지난달 8일부터 18일까지 전북 농업인 133명, 전북 ICT 기업 66개를 대상으로 농업인의 요구 기술과 기업이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조사했다. 그 결과 농업인의 요구 기술과 기업이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의 교집합이 시설원예, 농기계·드론, 축산, 유통 등 4개 분야에서 도출됐다.
스마트 시설원예의 경우 하드웨어는 자동제어난방기, 소프트웨어는 복합환경제어프로그램·생장관리프로그램 등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축산은 환기시스템·환경감지센서·영상녹화장치 등이 농업인과 ICT 기업의 공통 기술 수요처로 조사됐다. 특히 농업용 드론의 경우 농업인의 91%가 사용을 희망해 눈길을 끌었다.
현재 농업용 드론 기반 구축사업은 전남도가 규제프리존 특화분야로 드론을 지정하면서 중복성 문제가 제기된 상황이다. 이에 전북도는 드론과 농기계를 결합해 내년도 지역산업 거점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