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16:56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군산
일반기사

고군산군도 연결로 개통 부작용

관광객 양식 바지락 등 무단채취 주민과 마찰 / 편의시설 부족…마을 전체 주차장으로 전락

새만금 신시도에서 선유도까지 잇는 고군산군도 연결도로 임시개통이 섣부른 보이기 식 행정이라는 지적이다.

 

주차장 및 편익시설, 그리고 어장보호 기준 등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진행된 임시개통으로 인해 수십 년간 이곳을 지켜온 어민들이 직접적 피해를 입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곳 어민들과 관광객들과의 잦은 마찰로 관광도시 군산의 이미지가 더욱 퇴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지난 5일 고군산군도 연결도로가 개통된 이래 현재까지 신시도와 무녀도에서 관광객과 마찰을 빚고 심지어는 몸싸움을 벌인 사례만 20여건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광객 A씨는 지인들과 함께 개통기념으로 신시도를 찾았다가 개펄 밭에서 드러난 바지락을 캐다 이곳 현지 주민들과 언성을 높이는 싸움을 벌였다.

 

이곳 신시도 대부분은 마을공동체 양식장으로 어민들이 공동으로 바지락 및 해삼 등을 양식하며 생업으로 삼고 있는 곳이다.

 

하지만 이 같은 사정을 잘 모르는 A씨는 무작정 채취를 막는 주민들의 행위에 화가 났고 급기야는 캐 온 바지락을 길가에 뿌리고 발로 밟는 감정적 싸움까지 치달은 것.

 

또 다른 관광객 B씨와 C씨 등의 상황도 마찬가지. 마을공동체 양식장인줄 모르고 조개를 캐다 주민의 제지로 싸움이 빚어진 것이다.

 

비단 상황은 이곳 신시도만이 아닌 무녀도도 마찬가지다. 무녀도에서는 바지락을 캐는 건장한 청년들과 마을 주민이 서로 고성을 내며 멱살잡이까지 이르는 상황도 발생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신시도 및 무녀도 마을 주민들은 자치 단속반을 편성해 주야로 순찰을 돌고 있는 실정이다.

 

신시도의 경우 마을로 진입하는 입구에 아예 열쇠로 잠긴 바리게이트를 치고 경비원을 세워 마을로 진입하는 차량을 막고 있는 실정이다.

 

바지락 및 해삼을 무단 채취하는 관광객을 막는 동시에 무분별한 주차로 마을의 생업이 위협받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무녀도는 7~8명으로 구성된 자체 순찰반을 구성 24시간 내내 상시적으로 양식장 순찰에 나서고 있다.

 

이처럼 육지로 변한 도서지역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사전 준비 없이 연결도로 개통을 추진한 전북도와 익산국토관리청에 대한 비난이 높아지고 있다.

 

신시도 박병근 어촌계장은 “도로가 개통된 이후 주차장이 없다보니 평일이고 주말이고 마을 전체가 주차장으로 전락하고 있어 마을 진입로를 막아 놓게 됐다”며 “관광객의 마음을 모르는 건 아니지만 막무가내 식으로 마을에 들어와 조개를 캐고 오히려 이를 막는 마을 사람을 이상한 사람 취급한다”고 불편한 심경을 토로했다.

 

무녀도 이완농 어촌계장 역시 “고기잡이 생업을 진행하기도 바쁜 우리가 오죽했으면 자체 순찰반을 만들어 24시간 마을을 돌겠냐”며 “변변한 표지판이나 주차장, 편익 시설이 없다보니 오히려 마을 전체가 생업을 위협받는 쑥대밭으로 변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강모 kangmo@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