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재란 희생자 추모 순의제향 열어 / 국가 관리 승격 첫 해 만인문화제 병행
문화재청 만인의총관리소(소장 이병노)는 26일 남원 만의의총 충렬사에서 만인의사 순의제향(萬人義士 殉義祭享) 행사를 거행했다.
올해로 제419주기를 맞는 이번 제향 행사는 정유재란 당시 최대 격전지였던 남원성 전투에서 왜적에 맞서 싸우다 순절한 민·관·군 1만여 의사의 호국충절을 기리는 행사로, △헌관의 분향(焚香, 향을 피움)과 헌작(獻爵, 술잔을 올림) △축관(祝官)의 축문 낭독 △문화재청장의 헌화(獻花, 대통령 명의)와 분향(焚香) 순으로 진행됐다.
제향(祭享) 후에는 의총 참배, 음복다과회, 부대 행사가 이어졌다.
특히 올해는 그동안 지역 주민의 숙원이었던 만인의총 관리권이 전북도에서 문화재청으로 이관된 첫 해로, 이를 기념하기 위한 행사인 ‘만인문화제’를 개최해 만인의사의 숭고한 호국정신을 기리고 넋을 추모했다.
또 만인의사의 호국정신을 기리기 위해 남원시립국악원의 씻김굿과 보렴(남도민요) 공연이 펼쳐졌으며, 만인의총 광장에는 지난 2일 도내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최한 ‘제17회 만인의사 위업 선양 예능대회’에서 입상한 우수작품도 전시됐다.
만인의총은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당시 전략적 요충지였던 남원성 전투에서 순국한 1만여 명의 민·관·군 순국의사를 모신 곳이다. 당시 왜적 5만6000여 명에 맞서 남원성민 6000명, 전라도 병사 이복남이 이끄는 군사 1000명, 명나라 원군 3000명 등이 혈전 분투 끝에 장렬하게 전사했다.
만인의총관리소는 만인의사의 호국정신을 널리 계승하고 이들의 숭고한 나라 사랑 정신을 되새길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개발·확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