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일부 시·군이 국민안전처 안전지수 측정 결과 화재·교통 부문에서 낙제점을 받았다.
8일 국민안전처가 공개한 ‘2016년 지역안전지수’에 따르면 정읍시와 김제시가 화재·교통·범죄·안전사고·자살·감염병·자연재해 등 모두 7개 분야 중 5개에서 하위등급인 4~5등급을 받았다. 안전지수는 최고 1등급에서 가장 낮은 5등급까지 5단계로 평가했다.
정읍은 화재·교통·안전사고·감염병 분야에서 4등급을, 자살 분야에선 가장 낮은 5등급을 받았다. 김제는 화재·교통·자살·감염병 등 5개 분야에서 5등급, 안전사고에서 4등급으로 평가됐다.
진안군도 화재·교통·안전사고·자살·감염병 등 5개 분야에서 4등급에 속했다.
이와 함께 남원시와 임실군, 부안군도 모두 4개 부문에서 4~5등급을 받았다.
반면 전북도는 4개 부문에서 지난해보다 안전지수 등급이 상승해 눈길을 끌었다.
전북도는 자연재해에서 1등급, 화재 범죄 안전사고에서 각각 2등급, 교통사고 자살 감염병에서 각각 3등급을 받았다.
특히 화재와 안전사고 교통사고 감염병 분야에서 전년 대비 1등급씩 올랐다. 또한 7개 평가 분야 중 안전지수가 하위 수준으로 평가되는 4~5등급이 하나도 없었다.
전북도는 이번에 발표된 지역안전지수를 활용해 안전 취약요소를 분석,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현웅 전북도 도민안전실장은 “지난해 도민안전실을 신설한 후 재난안전 추진체계를 정비한 효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취약분야에 대한 안전 개선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도는 9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송하진 도지사 주재로 안전사고 사망자 수 감축 추진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제3차 도민안전 민관합동회의’를 연다. 올해 11월 말 현재 교통·화재·자살·감염병 등 도내 주요 안전사고 사망자는 629명으로, 전년(708명) 대비 79명(11.2%) 줄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