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주말 오후 도심 4차로의 차량 통행을 제한하고 사람들의 공간으로 되돌려줘 호평받았던 전주 ‘차 없는 사람의 거리’가 올해는 겨울 혹한기를 제외한 8개월동안 월 1회씩 상설 운영된다.
전주시는 19일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생태도시를 만들기 위해 차가 비워진 도로를 사람과 문화로 채우는 ‘차 없는 사람의 거리’를 올해부터 정례화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행사가 진행됐던 충경로를 주무대로 운영하되 서부신시가지와 전북대 구정문 등으로 차 없는 사람의 거리 행사 대상지역을 넓히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걷고 싶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첫 실험으로 주말인 지난해 11월 5일 전주시 중앙동 객사 앞에서 다가교 사거리까지 충경로 600m 구간의 양방향 차선을 전면 통제하고, 자동차가 점령했던 차도를 사람과 문화로 채우는 ‘객사 앞길 차 없는 사람의 거리(부제 전주본색)’행사를 운영해 시민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지난해 폭 25m, 길이 600m의 충경로 도로 위에서 문화와 생태를 주제로 펼쳐진 ‘차 없는 사람의 거리’ 행사이후 시가 인근 상인 100명과 주민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차량통제에 대한 불만이 일부 있었지만 응답자들은 대체로 차량통제와 문화행사, 보행자 공간 확보, 상가 매출 향상, 지역 이미지 개선 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에따라 올해 ‘차 없는 사람의 거리’ 운영 확대에 나선 시는 2억3000만원의 예산을 확보해 차 없는 사람의 거리를 8차례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그러나 확보된 예산으로는 매회 대규모 문화행사를 개최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봄, 가을 2회는 지역 축제 및 문화 행사 등과 연계한 차 없는 거리 행사를 마련하고, 나머지 6회는 계절별로 특색 있는 저비용 행사를 추진하는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이달 중 시 산하기관 및 단체, 동호회 등의 연중 행사계획을 파악하고, 2월 중 차 없는 거리 다울마당을 열어 세부적인 기본계획 및 월별 로드맵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시는 앞으로 차 없는 사람의 거리 행사가 원도심 공동화 방지와 상권 활성화를 위한 연례행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차량통제에 따른 대중교통수단 이용률 향상 방안과 영업용 차량 이용 불편 해소 방안을 마련하고, 화장실 확보 등 개선사항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전주시 시민교통본부 관계자는 “충경로 등의 차 없는 사람의 거리 정례화로 주변 상권·원도심 활성화를 꾀하고, 관광도 활성화시키는 전주의 대표 문화행사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