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6:18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기록된 미래, 다빈치 코덱스'전] 다빈치의 상상이 현실로

▲ 엘뜨레 ‘기계 사자’, 2012.

아름다움은 인간이 추구하는 가치 중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하늘의 별과 달, 가까이는 꽃과 나무, 과일, 사람의 얼굴, 세상에 있는 만물이 아름답게 펼쳐져 있지만 현대인은 무언가에 쫓겨 바쁘게 살아가며 아름다움을 놓치고 살아간다. 예술가들은 만물의 가려져 있는 아름다움을 드러내고 보여주는 사람들이다.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발걸음을 미술관으로 돌려 예술가들의 보석 같은 작품을 보며 이 세상의 아름다움을 새삼 느껴보고 아름다움을 보고자 하는 도민들에게 쉽게 접하기 힘든 전시를 안내하고자 서유진 기자(조사부 부국장) 예술 관람기를 부정기적으로 게재한다.

 

‘기록된 미래, 다빈치 코덱스’전이 지난해 12월부터 내달 16일까지 ‘문화역서울 284’에서 열리고 있다. 1998년 4월 예술의 전당에서도 ‘다빈치를 보면 미래가 보인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전’이 열린 적이 있다. 그때는 1국가 1도시 전시 원칙아래 세계 주요국가 순회전시의 일환으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든 면을 보여주는 종합기획전이라면 이번에는 전시 제목처럼 코덱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코덱스란 다빈치가 37년간 남긴 3만장 가량의 방대한 기록물이자 서로 다른 장르 융합이 실현되어가는 극적인 과정을 담은 모든 기록물을 말한다.

 

이번 전시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코덱스와 레오나르도의 방식을 활용하여 독자적인 결과물을 만드는 현대의 전문가와 작가들이 협력한 작품들을 전시했다. 즉 과거와 현재, 미래가 융합된 예술품이다. 터치스크린 키오스크, 미디어 영상관, AR 게임, VR 체험, 인터랙티브아트 등 삼차원적인 감상을 할 수 있다. ‘엘뜨레(Leonardo 3)’라는 다빈치를 연구하는 집단이 레 오나르도의 스케치와 선을 연구 분석하여 당대에는 불가능했던 여러 요소들을 현대 기술과 과학을 조합해 탄생시킨 작품들이다. 조그만 호기심이 있는 사람이라도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모두가 잠든 어둠 속에서 너무 빨리 깨어난 사나이”라고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다빈치를 간단명료하게 표현했다. 다빈치는 인류역사상 가장 창의적이고 입체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사고를 하는 위대한 천재이다.

 

코덱스는 다빈치의 필생의 중요한 4가지 중요한 주제 회화·건축·기계·인체해부로 구성되었고 그밖에도 지구물리학·수리학·식물학·기상학에 관한 연구도 포함되었는데 그의 ‘눈에 보이는 우주론’의 일부를 이룬다. 다빈치는 관념적인 지식을 배격하고 체험에서 직접 보고 터득한 반박의 여지가 없는 사실들을 받아들여 기록했다. 특히 자연에 대한 경외와 인체에 대한 호기심을 기초로 다방면에 대한 왕성한 지식욕과 탐구심은 예술과 과학을 연결시켜 인간과 자연을 이어주며 모든 학문의 융합에 앞장선 시대를 앞서간 위대한 인물이다.

 

전시회 작품 중 ‘로봇 기계 사자’는 당시의 강력한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1세와 동맹을 맺고자 하는 메디치 교황 레오 10세의 상징적인 선물이었다. 피렌체에서 제작된 뒤 프랑스 리옹으로 보내졌고 나무와 금속 밧줄을 연결시켜 만든 작품으로 실제 사자 사이즈이며 수많은 군중 앞에서 당시의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1세에게 다가가 뒷발로 우뚝 서면 가슴이 열리며 프랑스의 상징인 백합을 꺼내 보여주었다고 전한다.

 

전시회의 말미에 코덱스를 영상으로 풀어낸 프로젝션 ‘다빈치 통찰’(da Vinci Insight)은 3면의 커다란 벽을 이용해 다빈치 사고의 무의식부터 끝없는 관찰을 통한 얻어지는 우주적 통찰을 영상으로 보여준다. 5분간 이어지는 이 영상은 우주선을 타고 우주를 여행을 한 것만 같은 착각마저 일으킨다.

 

삶이 궁핍해지는 것은 미래적 가치를 보는 눈이 멀어있기 때문이라고 어느 누군가 말했다. 다빈치의 놀라운 성과는 그의 발명과 예술성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당대와 미래의 사람들에게 미래적 가치를 볼 수 있는 눈을 뜨도록 한 데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유진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