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과반 득표, 순회경선 판세 주도권 잡아 / 이재명·안희정, 수도권·충청서 반전기회 노려
반전은 없었다. 여전히 상존하는 호남지역의 ‘반문정서’에도 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호남권 순회경선은 문재인 대세론을 비켜가지 못했다. 민주당 향후 경선의 방향타가 될 호남대전에서 문 후보가 압승하면서 나머지 경선에서도 대세론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문재인 경선 주도권 잡아
문 후보는 호남권 경선 압승으로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판세의 주도권을 잡게 됐다. 호남 지역 경선결과가 선거인단의 60%를 차지하는 수도권 결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특히 문 후보가 그동안 끊임없이 반문정서에 시달려왔던 만큼 이번 호남권 경선에서 과반 이상의 압승을 거둔 것은 더욱 값진 승리로 받아들여진다. 여전한 반문정서에도 호남 민들이 안정적 정권교체에 방점을 찍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또 호남지역 1위 후보는 민주당의 적통이라는 이미지를 얻기 때문에 남은 세 차례 순회경선에 미칠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는 해석이다. 지난 2002년 경선 당시 호남에서 시작된 노풍은 반전드라마를 쓰며 노무현 후보를 당 대선후보는 물론 대통령에 당선되도록 했었다.
△승리 요인은
반문 정서가 수그러들지 않은 것으로 보였던 호남에서 문 후보가 높은 득표율을 보이며 2위와의 격차를 벌린 것은 ‘문재인 대세론’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지난해 연말부터 조기 대선 전망 속에 확고하게 자리한 문 대세론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호남권의 민주당 자치단체장, 지역위원장, 지방의원 조직 대부분이 문 후보 지지로 돌아선 것이 호남권 압승의 요인으로 우선 꼽힌다.
실제 자치단체장과 지역위원장, 지방의원의 조직력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날 대의원 현장 투표에서 문 후보는 75%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여기에 정권교체 열망이 큰 전북 등 호남지역민들이 야권에 호남 출신 유력 후보가 없는 상황에서 ‘될 사람을 밀어주자’는 전략적 투표성향을 보이면서 압승을 거뒀다는 평가다.
뿐만 아니라 문 후보와 부인 김정숙 여사가 조기 대선전이 시작 된 이후 수시로 호남을 찾아 진정성 있게 주민들에게 다가가면서 반문정서를 상당부분 희석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경선에서 압도적인 지지가 있어야 본선에서도 압승해 국가개혁과제를 완수할 수 있다는 메시지 전략이 적중한 것으로 보는 분석도 있다. 10여 년 동안 보수 정권에서 소외감을 느낀 호남에 ‘호남이 밀어줘야 본선에서 이길 수 있다’는 구호를 지속적으로 외친 것이 유권자들의 마음을 움직였다는 것이다.
△향후 경선 전망
호남 경선의 관전포인트는 문 후보가 과반을 득표해 결선 없이 본선으로 직행할 수 있는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지와 안희정·이재명 후보가 호남에서 선전을 통해 반전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지였다. 이 때문에 후보들은 호남대전을 앞두고 모든 역량을 집중했다.
일단 정치권에서는 이날 문 후보가 과반을 넘어 압승하면서 향후 경선에서도 수월하게 1위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안·이 후보 모두 호남에서 의미 있는 득표율을 기록함에 따라 향후 자신들의 지지기반인 충청과 수도권에서 격차를 줄이며 반전의 기회를 노릴 것으로 예상한다.
일단 안 후보의 경우 두 번째 순회경선지인 충청에서 대대적인 반격에 나설 것을 보인다. 또 이 후보도 충청에서 의미 있는 득표를 위해 총력전을 펼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두 번째 순회경선지인 충청에서도 문 후보가 호남에서 굳힌 대세론을 이어갈 경우 두 후보의 경선 동력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