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밭두렁 태우기 등 자제·주의 움직임 / "자치단체, 영농폐기물 집중 수거해야"
강원도에서 잇따라 대형 산불이 발생하면서 전북지역 농민들 사이에서도 논·밭두렁 태우기 등 영농소각 방지에 비상이 걸렸다.
9일 도내 농업계에 따르면 강원도 강릉과 삼척 등의 산불로 영농폐기물 소각에 대한 농민들의 인식에 큰 변화가 생긴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익산 항공관리소 소속헬기가 추락해 조종사가 진화 작업도중 숨진 것과 관련해 산간지역 인근 주민들 사이에서는 자성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김제에서 생강 밭을 일구고 있는 김모 씨(54)는“예전에는 폐비닐 등 영농폐기물과 잡초를 소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며“그러나 이번 강원도 산불 발생을 계기로 산불을 초래하는 영농소각을 근절하자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산불이 시작되면 인명피해는 물론 임업인과 농가경제에도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
전북지역은 최근 3년(2014~2016년) 간 158건에 달하는 산불이 발생해 1억 3600만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산불 원인은 주로 논·밭두렁 태우기와 쓰레기 소각 등 의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으로 영농소각 부주의 등으로 인해 발생한 산불은 전체의 90%에 달한다.
도내 농·임업인들은 영농소각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민들 간 협의도 중요하지만, 지자체 등 당국의 대책마련도 절실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영농소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영농철이 오기 전에 마을 안길, 하천주변, 경작지 등에 방치된 폐비닐 등 영농폐기물과 불법소각 잔재물 등을 집중 수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도 관계자는“산불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예방 활동을 강화함은 물론 산불초기 진화체계를 구축할 것”이라며“산불원인 제공자는 관련법령에 따라 엄중하게 처벌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