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중간 역학조사 결과
최근 고창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바이러스가 국내에 없던 새로운 유형인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7일 고창 육용 오리 농장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H5N6)의 중간 역학조사 결과, 지난해 말 유럽에서 유행한 H5N8 바이러스와 유럽 야생조류 저병원성 바이러스(H3N6)가 재조합된 새로운 유형의 AI(H5N6) 바이러스로 판단된다고 27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두 개 바이러스가 재조합해 새로운 유형의 H5N6형 AI가 형성된 것으로, 과거 국내에서 유행했던 유전형과도 전혀 다른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로 분석했다.
올해 10월 이후 겨울 철새를 통해 국내에 유입된 후 감염된 철새의 바이러스가 야생조수류, 사람, 차량(기구) 등을 통해 농장 내로 유입돼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농식품부는 추가로 세부적인 발생원인과 유입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민관합동조사팀을 구성, 발생농장과 동림저수지 인근(고부천, 사산 저수지 등)에서 야생조류 폐사체와 분변 등(852점)을 채취해 바이러스 확인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들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정보 등을 종합해 향후 역학조사 결과를 추가로 발표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