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호남' 한묶음에 또 광주행…반복되는 '전북 패싱'

공직설명회 이어 '청년정책 회의' 도내서 안 열려 / '생물다양성 대학원 지원사업'도 대도시서만 개최

전북은 정부의 각종 권역별 설명회에서 소외되고 있는 가운데 청년소통 행사마저 또다시 배제되면서, ‘전북 패싱’논란이 반복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9일 광주광역시 동구 황금동 청소년삶디자인센터에서 ‘오프라인 청년 1번가 권역별 원탁회의’가 열린다. 이날 회의는 전북과 광주, 전남 등 호남지역 청년을 대상으로 목소리를 듣고, 맞춤형 정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23일 낸 자료를 통해 “온라인 청년1번가(www.youth1st.kr)는 청년 정책 소통플랫폼으로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지 온라인으로 청년 정책을 제안할 수 있다”면서 “여기에 오프라인 청년1번가를 실시해 권역별 원탁회의를 전국 6개 권역에서 순차적으로 개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호남 청년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대도시’인 광주지역에서 들으면서 ‘전북 청년’은 배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앞서 인사혁신처가 지난 9월 14일 ‘2017 전라광주권 공직설명회’를 광주광역시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진행해 도내 공무원 준비생을 소외시켰다는 지적을 받은데 이어 또다시 전북 청년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특히 정부의 ‘전북 패싱’이 청년 소외뿐 아니라 모든 분야에 걸쳐 일어나면서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강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환경부 소속 국립생활자원관은 지난 6일부터 한 달간 ‘생물다양성 특성화대학원 지원 사업’에 대한 지역 순회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생물다양성 전문가 양성에 동참할 수 있는 대학을 찾기 위해 춘천(강원권, 6일), 광주(전라·광주권, 13일), 대전(수도권·충청권, 20일), 대구(경상권, 27일), 부산(경상권, 12월 4일) 등 5개 권역에서만 시행됐다.

 

생물다양성 특성화대학원은 내년 3월까지 총 7개 대학원이 선정되며, 3년간 지원이 이뤄진다.

 

이를 두고 중·소 도시는 행사가 열리는 곳과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설명회가 열리는 지역 대학이 사업 선정 과정에서 더 유리한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행정안전부와 국립생활자원관 관계자는 “시간과 예산, 장소 등의 여건상 여러 지역에서 행사를 개최하지 못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서 더욱 강력한 국가 균형발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주시의회 서난이 의원은 “청년들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정부가 오히려 지역 청년에게 상대적 소외감을 느끼게 했다”고 지적했다.

 

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신기현 교수는 “정부 주도의 권역별 설명회가 대도시로 쏠리는 현상은 인구수가 많아 성황리에 개최되는 듯한 인상을 보이기 때문”이라면서 “아무리 좋은 의미의 행사여도 중·소 지역이 소외되는 현상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결과 도출에 한계를 보일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늘날 모든 행정 정보의 흐름은 발전이 덜 된 지역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전국의 비 거점 지역에서 전략을 펴고 의제 설정을 하는 등 적극적인 국가 균형발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남승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올해 100대 기업 여성임원 476명 역대 최다…전체 임원 중 6.5%

정치일반'검은 수요일' 코스피 6%↓…급등 부담 속 'AI 버블론'이 직격

군산“군산에 오면, 미래 체육을 만난다”

전주전주시의회, 18~26일 행감…시민 제보 접수

정읍정읍 바이오매스발전소 건립 공사중지 가처분 신청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