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가 정부의 ‘2017년 지자체 합동평가’에서 10월 말 현재 전라북도 14개 시·군 가운데 최하위로 평가돼 분발이 요구되고 있다.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이번 평가는 올 1월부터 12월까지 도내 14개 시·군의 11개 분야 32개 시책, 72개 지표와 군산시 176개 세부지표에 대해 현지 검증 등을 거쳐 2018년 하반기에 최종 결과가 공개된다.
이 평가는 지자체 합동평가 실적관리시스템에 의한 온라인 평가에 따라 ‘가’, ‘나’, ‘다’ 등급으로 이뤄진다.
군산시는 지난 10월 말까지 이뤄진 평가에서 ‘가’ 66개, ‘나’ 37개, ‘다’ 33개를 기록, 14개 시·군 가운데 14위를 기록했다.
시에 따르면 136개의(정성평가 40개 제외) 지표별 자체 실적점검을 벌인 결과 우수 66개(48.5%), 양호 37개(27.2%)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33개(24.2%)의 지표는 부진한 것으로 평가됐다.
실적이 부진한 시책 가운데 △육아휴직 인력 대체 실적률 △규제개혁 교육·홍보 실적 △사회적 경제 우선 구매 △특수거래 분야(방문판매법, 할부거래법) 법 집행 실적 △균형성장(여성)을 위한 제품구매율 △환경개선부담금 징수율 △녹색 제품 구매 비율 △거동불편 노인 돌봄서비스 제공률 △장애인연금 신규 수급자 발굴 실적 △빈집정비실적 △도로명 방식 도로 명판 확충 실적 △임도 시설 실적률 △풍수해보험 가입실적 및 증가율 △농지보전부담금 체납 발생·해소율 등의 세부지표는 하위권을 맴돌고 있어 최대한 보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시는 중간 평가가 부진한 사유로 주민 대비 공무원 부족, 전체 물품 구매율 대비 추진 실적을 대입한 경우가 많아 타 시·군에 비해 불리한 산술지표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와 관련 시는 지난달 30일 한준수 부시장 주재로 32과의 간부공무원이 참석한 가운데 ‘지자체 합동평가 대비 추진상황 보고회’를 개최, 세부지표별 부진 실적을 점검하고 문제점과 실적향상 방안을 논의했다.
시는 남은 기간 동안 실적이 부진한 전 분야에 걸쳐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수립하는 등 최우수 지자체 평가를 목표로 막바지 실적 제고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한준수 부시장은 “전 부서 간 협업을 통한 실적 거양과 실·국장 주재 목표대비 추진 실적관리 등 주 1회 자체점검을 실시할 방침”이라며 “10월 말 결과를 토대로 정확한 분석과 대응에 나서 12월 말까지 105개 이상의 ‘가’등급을 반드시 확보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