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비트코인'은 뭐고 '블록체인'은 뭘까?

'비트코인' 물리적인 형태 없는 디지털 통화…'블록체인' 공공거래장부· 해킹등 방어 역할

‘비트코인’은 지폐나 동전과 달리 물리적인 형태가 없는 온라인 가상화폐(디지털 통화)다.

 

비트코인은 기존 사이버 머니와는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상점에서 물건도 사고, 다른 사람에게 송금도 가능하다. 비트코인을 돈처럼 받는 ‘비트코인 가맹점’은 전 세계에 8000여 곳, 국내엔 50여 곳이 있다.

 

비트코인은 미국발(發)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닉네임으로 위장한 정체불명의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만들었다. 2009년은 미 연준이 막대한 양의 달러를 찍어내 시장에 공급하는 양적완화가 시작된 해로, 달러화 가치 하락 우려가 겹치면서 비트코인이 대안 화폐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비트코인의 핵심요소에는 수학적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신기술 ‘블록체인’이 자리하고 있다. 블록체인은 공공 거래 장부 역할을 하며 가상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 등을 방어한다.

 

비트코인이 은행을 거치지 않고 개인과 개인이 직접 돈을 주고받을 수 있는 ‘분산 거래장부’방식을 도입할 수 있었던 것도 블록체인 기술 덕분이다.

 

비트코인 시장에서 블록체인에 저장된 거래기록이 맞는지 확인하고, 거래를 승인하는 역할을 맡은 사람을 ‘채굴자’라고 한다. 막대한 양의 전기를 소모해야 하는 채굴자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비트코인 시스템은 채굴자에게 새로 만들어진 비트코인을 주는 것으로 보상해 주고 있다. 채굴자는 비트코인을 팔아 이익을 남길 수 있지만, 채굴자 간 경쟁이 치열해지거나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하면 어려움에 처한다.

 

기존 금융회사의 경우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반면,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혁신을 일으킬 대표 분야로 꼽히고 있지만, 실물 화폐로 현실화하는 데엔 여러 불안 요인이 남아 있다.

 

비트코인은 금이나 화폐처럼 내재가치가 없다.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마음만 먹으면 비슷한 암호 화폐를 발행해 비트코인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화폐의 기본 기능인 법적 안정성과 신뢰가 크게 떨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김윤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남원 교차로서 사륜 오토바이와 SUV 충돌⋯1명 숨져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