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국악원이 27일 오후 7시 30분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에서 정기공연 ‘무본Ⅲ, 전승과 창조’를 개최한다. 무본(舞本)은 제목 그대로 춤의 근본을 들여다본다’는 뜻. 2016년 무본 이후 세 번째 시리즈다.
이번 공연은 우리 춤의 근간을 이루는 정재와 민속춤, 창작춤을 呈(정)·中(중)·動(동) 3개의 장으로 구분해 선보인다. 呈(정)에서는 태조 이성계가 꿈에서 왕권의 상징인 금척을 받은 것을 형상화한 궁중정재 ‘몽금척’의 장중한 무대가 시작된다. 국가무형문화재 제40호 학연화대합설무 이흥구 명무가 <악학궤범> 의 기록에 근거해 당시의 무악을 그대로 재현한다. 반주에는 국립국악원 정악단이 함께한다. 악학궤범>
中(중)에서는 국립민속국악원 복미경 안무자의 독무로 감상하는 승무와 동초수건춤, 동래학춤이 차례로 무대에 오른다. 동초수건춤과 동래학춤은 특별히 전라북도무형문화재 제15호 호남살풀이춤 최선 명무와 부산광역시무형문화재 제3호 동래학춤 이성훈 명무에게 지도받았다.
動(동)에서는 전통에 현대적 해석을 덧붙인 ‘요즘 강강’으로 공연의 대미를 장식한다. 현대무용가 장은정이 협력 안무로 참여한 이 작품은 전통예술이라 규정된 강강술래의 변신을 꾀한다.
복미경 안무자는 “전승을 넘어 시대에 맞게 재창조하는 작업 또한 전통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아닐까 싶다”며 “춤꾼들의 숨결까지 전해지는 감동의 무대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