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본격적인 수탁은행 선정에 돌입하면서 연기금 관련 금융기관을 전북혁신도시에 집적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기관 집적은 국제적인 금융도시가 갖춰야 할 가장 필수적인 요건이다.
국민연금과 관계를 맺고 있는 글로벌 금융사들은 전북 전주를 제3의 금융도시로 제대로 키워내기 위해서는 일방적인 청사진 제시보다 금융기관이 실제 집적할 수 있도록 긴밀한 소통과 협의가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유치 활동에 있어 그들의 업무 편의성과 생태계에 맞춘 금융도시계획이 절실하다는 의미다.
현재로서 금융기관들에게 전주로 이전할 수 있는 가장 큰 명분과 인프라는 기금운용본부의 소재지가 전북혁신도시라는 점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세계 3대 기금으로 분류되며, 올해 600조원을 넘긴 기금은 2022년 1000조원을 돌파하고, 2043년에는 25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기금운용본부가 현재 거래하는 자산운용사는 352개에 달한다. 또한 18곳의 해외 전문 투자운용사와 전략적 제휴관계도 맺고 있다.
금융 불모지였던 전북에 기금운용본부 이전은 금융기관 집적에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됐던 이유다. 그러나 서울에서 근무하던 금융기관 관계자들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현재 로드맵만 가지고는 부족하다는 평가다.
전주가 제3금융 중심지로 지정되는 데 성공할 경우 전주로 이전하는 금융사는 재정적 지원과 금융업 관련 규제완화라는 혜택을 볼 수있다.
국민연금공단의 경우 운용사 가점부여, 위탁사 운용기금 상향 등의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 3월 혁신도시를 ‘제3의 금융중심지’로 지정하기 위해 ‘금융중심지 추진전략 수립 및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 용역’을 의뢰한 상태다.
12월까지 진행되는 용역에서는 혁신도시가 금융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기본요건 점검, 금융도시 지정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계획 수립 등이 진행된다.
금융기관의 성공적인 유치와 금융도시의 현실화는 정부와 도는 물론 도내 인근 모든 지자체와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법령정비는 물론 새로운 도시계획과 문화공간 조성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친 혁신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여의도에서 만난 금융업계 관계자는 “해외 여러 곳을 누비는 직원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인프라와 주거, 교통, 문화 등 정주여건을 만들어야 금융도시의 모습을 갖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중심지 지정을 위해서는 정주여건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도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관계자들의 이야기다. 쇼핑 문화시설 등에 대한 보완책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부산의 경우 금융중심지 지정과 금융기관 집적을 실현하기 위해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마산, 합천 등 인근 모든 지자체가 참여하는 추진단을 구성하고 산하에 심의기구와 자문단을 운영해 전체적인 의견을 모았다.
한편 금융중심지는 다수의 금융기관들이 자금의 조달·거래, 운용 등의 금융거래가 집약되어 이뤄지는 곳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09년 처음으로 서울과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