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이 지난해 7월 가동이 중단된 군산조선소의 재가동 시점으로 2019년 초를 제시한 가운데 이 같은 약속이 이행될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강환구 현대중공업 사장이 올 초 “정부의 공공선박 발주투자 확대가 이뤄지면, 현대중공업도 선박 70척 이상을 수주해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가능하다”고 밝힌 상황에서, 최근 들어 정부 발주 물량이 늘어나고 실제 현대중공업의 수주 물량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전북도에 따르면 올 6월 현재 현대중공업이 수주한 물량은 21척이며, 올 하반기까지 수주물량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 현대상선의 선박 발주가 잇따르고 있다.
실제 현대상선은 정부의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초대형 컨테이너선 20척(2만3000TEU급 12척, 1만4000TEU급 8척)을 발주하기로 했는데, 이중 2만 3000TEU급 7척은 대우조선해양에, 5척은 삼성중공업에 발주하고, 1만 4000TEU급 8척을 현대중공업에 발주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현대중공업이 수주할 이 물량은 우선 울산조선소로 배정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중공업은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전인 지난해 6월, 군산조선소에 배정됐던 LPG운반선 2척을 울산조선소로 가져간 바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지역 사회를 중심으로 현대중공업이 애초 약속대로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해 수주 물량 중 일부를 군산에 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원유운반선이나 광탄운반선 등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설계에만 최소 6개월가량이 소요되는데 다음 달 내에는 군산에 이 물량이 배정돼야 내년부터 조선소 재가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북도는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해 울산조선소에 배정된 물량 중 원유운반선과 광탄운반선, LPG운반선 등을 군산조선소로 배정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현대중공업은 “군산조선소가 재가동한 뒤 도중에 또 다시 가동 중단이 돼서는 안 되는 만큼 어느 정도 수주 물량을 확보해 재가동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도는 현대중공업에 선박물량 배정에 앞서 지역 조선소업계의 생태계 재건 위해 선박블록 배정도 요청했다. 현대중공업은 선박블록 배정에 대해서는 긍정적 검토의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현대중공업이 약속대로 최소한 내년 재가동하려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조선 산업의 어려움으로 막대한 공적자금이 지원되고 있다”면서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의 취지와 기업의 최소한의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는다면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조속히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군산조선소 도크 가동 없이 기존 협력업체에서 수주 받아 작업할 수 있는 선박블록을 배정하면 협력업체에서 선박블록을 제작·납품해 지역 내 일자리와 조선업계 생태계도 어느 정도 재건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