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157억5000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전북지역 외국인 직접투자 실적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은 광주와 대전 등 광역시를 제외하고 도 단위 지자체 중 외국인 투자 유치실적 꼴찌를 기록했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18년 상반기 외국인 직접투자 동향’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전북지역 외국인 투자유치 실적 신고금액은 17개 업체 4400만 달러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도착금액은 1200만 달러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동기대비 신고금액(1억2700억 달러)과 도착금액(7400만 달러)의 절반수준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전북지역 외국인 투자 신고금액은 지난해 동기대비 8300만 달러나 감소했으며, 도착금액은 6200만 달러가 줄어들었다. 도착금액은 외국인 투자자가 투자 개요를 담은 의향서를 제출한 이후 실제로 투자가 진행된 금액을 말한다.
반면 같은 기간 전북과 경제규모가 비슷하다고 평가되는 강원이 10억4600만 달러의 외국인 직접투자를 유치했으며, 충북은 7100만 달러를 유치했다.
이들 지자체는 전북지역 실적대비 2배 이상에 달하는 외국인 투자를 유치한 것이다.
산자부는 외국인의 국내 직접투자가 증가한 것은 올 상반기부터 신산업 생태계 구축형 투자가 가시화되고 합작투자가 증대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스타트업 육성 투자도 활발했다. 특히 미국과 일본 투자자들은 기술력은 있으나 인지도와 자본조달 능력이 떨어지는 유망 스타트업에 펀드방식으로 투자를 확대해 나갔다.
그러나 외국인 투자자는 전북에 대한 투자에는 소극적이었다. 도내에 기업경영 인프라와 투자환경이 조성되지 않았고 스타트업 육성과 홍보도 미흡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산자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확보, 공동투자 여건조성, 기업 활동에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는 산업 생태계 구축 투자가 외국인 투자유치의 키워드였다”고 설명했다.
도내 한 중견기업 간부는 이번 결과에 대해 “전북은 외국인 직접 투자에 대한 마인드가 크게 부족한 곳”이라며 “지역사회에서 목소리를 내는 일부 계층에서는 투자를 하는 외국 기업에 대해 ‘먹튀’ 아니냐는 의심의 시선을 보내는 분위기가 팽배한데다, 지자체의 유치 활동도 다른 지자체에 비해 훨씬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