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06:45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경제일반
일반기사

유류세 인하 첫날, 시민 관심 '후끈'…체감은 '아직 글쎄'

정부가 유류세 인하에 돌입한 6일 오전 일찍부터 기름값이 저렴한 주유소를 찾으려는 시민들의 관심은 뜨거웠다.

그러나 정작 싼 기름값을 체감했다는 반응보다는 정부 정책이 실제 주유소 유가에 반영되는 ‘시차’에 대한 불만이 아직은 더 많은 상황이다.

정부는 국제유가 상승과 내수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세자영업자와 중소기업, 서민의 부담 완화를 위해 이날부터 내년 5월 6일까지 유류세를 15% 낮춘다.

대형 정유사가 직접 운영하는 직영주유소들은 이날부터 당장 세율 인하분을 100% 가격에 반영해 기름값을 인하했다.

개인이 운영하는 자영주유소의 경우 전날까지 높은 가격으로 공급받은 석유제품의 재고량이 얼마나 남았는지에 따라 세율 인하분 가격 반영 시점이 주유소마다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아직은 유류세 인하로 기름값 부담이 완화됐다는 반응보다 실제 인하된 기름값으로 주유하기 어렵다는 불만이 더 많이 들려오는 상황이다.

온라인상에서도 네티즌들은 ‘기름값이 (ℓ당) 1천500원대인 주유소는 상상 속에서만 볼 수 있느냐’, ‘우리 동네 주유소는 재고를 핑계로 기름값을 10원밖에 안 내렸다’, ‘직영주유소는 원래 가격이 비싸서 내려봤자 체감이 없다’ 등의 부정적 반응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전체 주유소 가운데 약 90%를 차지하는 자영주유소가 재고량에 따라 세율 인하분을 가격에 반영하는 시점이 천차만별인 데 대한 불신의 목소리가 컸다.

한 네티즌은 “재고를 이유로 기름값을 늦게 내리는 거라면, 기름값 인상 시점에는 싸게 사들였던 재고는 싼 가격에 다 팔고 기름값을 올리는지 지켜보겠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