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7:58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국제
일반기사

탈냉전·동서화합 이끈 아버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 별세

아들 부시와 미국 두 번째 ‘父子 대통령’이자 역대 최장수 대통령
고르바초프와 정상회담으로 냉전 종식·동서화합 선언
걸프전 승리 치적…경기 침체·재정 적자로 재선 실패

‘아버지 부시’로 불린 조지 H. W. 부시 전 미국 41대 대통령이 별세했다. 향년 94세.

아들 조지 W. 부시 전 미 대통령은 지난달 30일밤(현지시간) 가족의 대변인을 통해 트위터로 발표한 성명에서 “젭과 닐, 마빈, 도로와 나는 사랑하는 아버지가 놀라운 94년을 보낸 뒤 돌아가셨음을 슬픈 마음으로 발표한다”고 밝혔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부시 전 대통령은 이날 밤 10시께 텍사스주 휴스턴의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고 부시 가족 대변인이 전했다.

부시 전 대통령은 지난 4월 부인 바버라 여사가 92세를 일기로 별세한 뒤 입원을 반복하며 치료를 받아오다가 8개월 만에 그의 곁으로 갔다.

부시 전 대통령은 지난 1988년 대선에 공화당 후보로 출마, 민주당 후보였던 마이클 듀카키스 매사추세츠 주지사를 누르고 당선돼 이듬해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라크에 침략당한 쿠웨이트를 해방한다는 명분으로 시작한 ‘걸프 전쟁’에서 약43만 명의 대군을 파병해 승리를 거둔 것은 부시 전 대통령의 큰 치적으로 기억된다.

33개국 약 12만 명의 다국적군까지 합세한 대(對) 이라크 총공세는 ‘사막의 폭풍’이라는 작전명으로 전쟁사에 남았다. 한국도 당시 군 의료진과 수송기 등을 파견하며 다국적군에 참여했다.

이라크전 승전보 이후 전임자인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인기에 가까울 정도의 가파른 지지도 상승을 보였지만, 이후 경기 침체와 만성적인 재정 적자 등 국내 경제적 요인으로 민심을 잃으면서 1992년 대선에서 빌 클린턴 전 대통령에게 져 재선에 실패했다.

부시 전 대통령은 거대한 세계사적 변화 물결의 중심에서 4년 임기를 보냈다.

‘거대 공산 제국’ 소비에트 연방공화국이 붕괴하고 독일 통일을 시작으로 동유럽이 잇달아 자유화의 물결을 탔다.

부시 전 대통령은 탈(脫) 냉전의 분위기가 싹트던 시기에 미하일 고르바초프 당시 소련 공산당 서기장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미·소 정상회담을 통해 40여 년에 걸친 냉전의 종식과 동서화합을 선언하기도 했다.

부시 전 대통령은 미국적 전통 가치를 존중하는 부시 가문을 제43대 대통령인 장남 조지 W. 부시와 함께 케네디가(家) 못지않은 정치 명문가로 만들었다.

이들 두 명의 부시 대통령은 미국 역사상 두 번째 ‘부자(父子)’대통령으로 기록됐다.

부인인 바버라 여사는 남편과 아들을 대통령으로 키워낸 ‘국민 할머니’로 미국인의 존경과 사랑을 받았고 차남 젭도 플로리다 주지사를 지냈다.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의 장례식은 11년 만에 국가가 주관하는 국장(國葬)으로 치러지며 유해가 의사당에 안치돼 5일 오전까지 조문이 이뤄진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