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적 상위 응급의료체계 부재 현실 맞닥뜨려
응급환자이송체계 혼란 불가피
정부차원 재난재해 의료팀도 전북선 가동 못해
전북지역 응급의료체계의 중추적 역할을 맡은 전북대학교와 원광대학교가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정을 받지 못했다.
전북대병원 등은 권역센터에 준하는 의료서비스를 지역에 제공한다는 입장이지만 전북은 상위응급의료체계 부재라는 현실을 맞닥뜨리게 됐다. 일부에서는 정부가 지표에만 매달려 지역 응급의료 수요 현실을 등한시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일은 크게 3가지다.
지역의 중증응급환자 발생 시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과 연계해 환자들을 관리하고 중앙응급의료센터 통제 하에 환자를 이송하는 역할과 재난·재해 발생시 의료팀 투입, 예방교육활동 등이다.
그러나 전북에서 이 권역센터 지정이 취소되면서, 시간이 생명인 응급환자 이송체계의 혼란이 불가피 할 전망이다.
전북지역의 인구 10만 명 당 교통사고 건수와 사망자수는 타 지역에 비해 높아 중증응급환자 발생 가능성이 높다.
또 기존 전북대병원의 중증응급환자 비율은 2017년 기준 전국 1위로 그만큼 응급환자 발생 우려가 크다.
지역에서 각종 재난·재해 발생시 타지역 권역센터의 의료진이 투입되는 문제점도 있다.
지난해 군산 방화치사사건 발생시 권역센터인 전북대 병원의 의료진으로 구성된 DMAT(Disaster Medical Assistance Team)가 투입됐지만 앞으로 이 같은 일이 벌어질 경우 타지역 DMAT이 투입된다.
아울러 권역센터와 연계한 현장응급의료자 종사자 교육 등 응급의료관련 교육 훈련도 축소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