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산자부에 ‘HI태양광 발전사업·전기사업 허가 신청 취하서’ 제출
지역민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 시점 확약해야”
현대중공업 “수주 물량 최소 70척 넘어야 조선소 재가동”
속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내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를 추진한 한국동서발전이 사업 허가 신청을 철회했다.(18·19일자 1면)
지역에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현대중공업이 군산조선소 재가동 시점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다.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담보되지 않으면 이번 사태와 같은 논란은 언제 다시 타오를지 모를 불씨로 남기 때문이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동서발전은 이날 오전 ‘HI태양광 발전사업·전기사업 허가 신청 취하서’를 제출했다. 한국동서발전의 이 같은 결정은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염원하는 지역민의 정서를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현대중공업의 이례적인 해명과 한국동서발전의 사업 취하로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군산조선소 재가동은 뒷전인 것 아니냐는 우려는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18일 “한국동서발전의 요청에 따라 타당성 조사를 목적으로 사용허가서를 발급한 것은 사실”이라고 해명했지만, 토지주인 현대중공업이 한국동서발전에 타당성 조사 목적의 사용허가서를 작성해 준 점은 군산조선소 재가동은 뒷전인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들게 하는 대목이다.
현대중공업은 한국동서발전이 제안한 사업성 검토 과정에서 초기 투입비 최소화를 위해 동서발전과 공동출자하는 방안과 20년 운영을 기준으로 사업의 수익률 및 투자금 회수 기간을 분석하는 등 세부적인 계획을 검토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담보되지 않으면 논란은 일단락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서지만 군산경실련 집행위원장은 “현대중공업과 한국동서발전이 지역민의 반발이 거세지자 서둘러 사태를 진화하는 모습”이라며 “이번 사태와 같은 논란이 다시 불거지지 않기 위해서는 군산조선소 재가동 일정을 조속히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군산시의회 또한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30만 군산 시민들은 군산조선소 조기 재가동만을 바라고 있다”며 “현대중공업은 대통령의 약속인 군산조선소를 하루속히 재가동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현대중공업 측은 “논란이 된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와 군산조선소 재가동은 무관한 사항”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군산조선소 재가동 시점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현대중공업의 한 관계자는 “최근 수주 물량이 증가했다고는 하지만, 군산조선소를 재가동할 수 있는 물량은 아니다”며 “조선소 재가동 시점을 당기는 것은 물량 확보가 관건으로 한 해 수주 물량이 최소 70척은 넘어야 군산조선소를 재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2018년 53척을 수주한 데 이어 올해 2월 현재까지 2척을 수주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