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활용 가능한 국·공유지, 지역 혁신성장 전략과 연계한 활용방안 마련 계획
국·공유지 47곳…13곳 활용 확정, 4곳 활용방안 용역 중이거나 용역 예정…19곳 검토 단계
활용 가능성 분석 후 대도약정책협의체 의견 수렴 통해 국가사업·민자유치 등 활용 예정
전주시 효자동 대한방직 주거용지 등 전북 내 숨은 금싸라기 땅인 국·공유지를 지역 혁신성장 전략과 연계한 활용방안이 마련된다.
활용이 가능하지만 숨어있는 국·공유지가 지역 활성화를 위해 어떻게 활용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전북도는 도내 국·공유지에 대한 현황 조사와 분석을 통해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사회변화와 국가정책 등으로 도내 국·공유지 발생이 증가하면서 이를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과 연계해 활용하기 위해서다.
이에 전북도는 활용 가능한 국·공유지의 현황 조사·분석을 통한 통합데이터를 구축·관리해 국가사업 발굴, 민자유치 차료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전북도에 따르면 시·군별 활용 가능한 국·공유지(사유지 포함)로, 국가주도 개발,공모 등 정책적으로 활용방안을 검토 중이거나 필요성이 있는 부지는 모두 47곳이다. 이중 13곳은 활용이 확정됐으며, 4곳은 활용방안 용역이 진행 중이거나 용역이 추진될 예정이다. 또 19곳은 활용방안을 검토 중이다.
활용이 확정된 부지는 혁신도시 내 금융산업 생태계조성 부지(3만 3256㎡)와 옛 군산 옥구초등학교 부지(1만 6835㎡), 익산 황등면 일원 부지(21만 7000㎡), 남원시 월락동 일원 부지(4만 2829㎡) 등이다.
이와 함께 자림복지재단 부지 2만㎡와 전주 덕진동 법원·검찰청 부지 2만 8613㎡, 완주 용진읍 운곡리 부지 6만 6395㎡는 활용방안 용역을 추진할 예정이며, 전주교도소 부지 10만 9256㎡는 활용방안 연구용역이 진행 중이다.
이서묘포장 부지(20만 8497㎡)와 남원 가축유전자원 시헙장 이전부지(129만㎡), 김제공항 부지(158만㎡) 등 19곳은 활용방안이 검토 중이다.
전주 대한방직공장 부지와 종합경기장, 군산 금란도 부지 등 10곳은 활용방안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는 올 상반기 중으로 지역별 혁신기관(R&D 등)과 연계한 활용맵을 작성할 계획이며, 대도약정책협의체 등의 의견수렴과 공론화를 통해 올 하반기에는 국가예산 확보 등 신규 사업을 발굴하겠다는 방침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활용 가능한 공간을 이용해 지역 활성화가 목적”이라며 “전북연구원에서 국·공유지의 활용 가능성 분석 등을 통해 정책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