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인구·신생아 수 계속 줄어들고 젊은이는 일자리 찾아 타지로 떠나
청년 인재 활용 특화 브랜드 키워야
정치·경제·사회·교육문화 등 전북 전반에 위기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출산율 하락, 청년 유출, 일자리 부족 등 전북이 도시소멸론에 휘말려 존폐 기로에 서 있다. 특단의 처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전북에서 태어난 아이는 9858명이다. 이는 2013년 1만4838명에 비해 4980명(33.6%)이 감소한 수치다. 2014년은 1만4341명, 2015년 1만4144명, 2016년 1만2872명, 2017년 1만1200명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전북 인구 역시 1966년 최고치인 252만3708명을 찍은 뒤 지속적 감소 추세를 보이다 급기야 올해엔 182만9273명으로 통계상 최저치까지 내려갔다. 전북은 이제 사람들이 찾는 곳이 아닌 떠나는 지역이 되고 있다.
전북 농촌지역 과소화도 갈수록 심각해져 전북 10개 시군이 지역소멸 위기지역으로 분류됐고, 인구이동 고착화와 활력 저하로 45개 마을이 아무도 살지 않는 무거주 마을로 조사됐다.
게다가 미래를 짊어진 청년들 역시 지난해 8825명이 전북을 떠났다. 전체 유출인구 1만3773명 중 64%를 차지하는 숫자다.
지난 2008년 이후 2018년까지 전북을 떠난 20대는 무려 7만4500여 명에 달한다. 지역의 성장 잠재력인 청년이 떠나고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전북 소멸론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전북이 낙후·소외지역 오명을 쓴 도시로 주저앉을 것인지, 특단의 처방으로 회생할 것인지는 모두 ‘사람’에 달렸다. 사람이 곧 ‘전북의 미래’로 떠나는 사람의 발길을 돌리고, 지역의 잠재력 있는 청년 인재를 활용해 특화된 전북의 브랜드로 키워야 한다. 전주 상산고등학교 자율형사립고 재지정 문제도 인재 육성차원에서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특히 10여개월 뒤에는 전북 도민의 목소리를 대변할 국회의원을 뽑는 총선이 있다.
만년 야당으로 차별과 소외의 역사를 써왔던 전북은 문재인 정부와 전라도 정도 1000년의 도약을 맞아 비상을 꿈꿨지만 여전히 산업화 과정에서 홀대받고 있고, 30년간 지웠다 썼다를 반복한 새만금 개발도 이제야 첫 발을 내딛고 있는 실정이다.
내년 총선에서 지역발전을 견인할 좋은 인물을 뽑아 위기의 전북을 기회의 전북으로 만드는데 목소리를 높이도록 회초리를 들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