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일 평균 음식물쓰레기 578톤 발생
전문가 “물기 제거 후 배출하면 50% 절감효과 볼 수 있어”
전북지역 음식물쓰레기의 연간 처리비용이 수백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음식물쓰레기 감소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4일 환경부의 ‘전국 폐기물 통계조사’에 따르면 2017년 도내 1일 평균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은 578톤으로 집계됐다.
음식물쓰레기는 인구에 비례해 전주가 하루 평균 270톤으로 가장 많았고, 군산시 92.7톤, 익산시 92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루 발생한 음식물쓰레기는 도내 10개의 공공·민간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로 옮겨지게 되며, 음식물쓰레기 분류작업을 거친 뒤 건조 후 폐기되거나 퇴비로 재활용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비용은 1톤당 평균 18만 원으로, 도내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은 하루에 약 1억 원, 1년에 약 380억 원의 세금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가 증가하는 원인에 대해 국민소득증가로 인한 외식 증가, 음식점의 과다한 반찬 제공, 푸짐한 상차림 문화, 음식의 소중함에 대한 의식 결핍 등을 들고 있다.
현재 전북도는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요식업 중심 홍보활동과 RFID(무선인식)칩을 사용하는 방식을 도입해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지만 음식물쓰레기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에 국회와 경기도교육청, 경기도 안양시, 인천 계양구 등은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토론회 개최, 대책반 신설, 조례안 발의 등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전문가들은 주민의 참여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는 방법이 막대한 세금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보건환경 전문가들은 “음식물을 줄이기 위해 범국민적으로 동참해야 한다”며 “과거 우리나라의 아껴 쓰는 문화가 삶이 풍족해 지면서 과소비로 전환돼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음식물쓰레기는 메탄가스를 배출하는 등 환경에 좋지 않은 점이 많으며 음식물을 건조하고 분류해 버릴 경우 약 50%의 경제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도와 요식업계의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