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산단, 투자 기업 증가…국가산단은 가동률 하락 등 영세화
새만금산단 태양광 기업, 국가산단에 풍력·전기차 등 분산시켜야
재생에너지 메카로 떠오르는 ‘새만금 산업단지(이하 새만금산단)’와 조선·자동차 산업의 몰락으로 동반 쇠퇴 중인 ‘군산국가산업단지(이하 국가산단)’의 공동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군산지역에 신규 투자 의사를 밝히는 기업의 대부분이 새만금산단 입주로 치우치는 반면 한국GM 등 굵직한 기업이 빠져나간 국가산단은 상대적으로 영세화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최근 정부 정책에 따른 전기차 및 재생에너지 붐이 일면서 새만금산단에는 관련 기업 유치가 활발해지고 있다.
4일 군산시에 따르면 새만금산단에 투자 하겠다며 MOU를 체결한 기업은 6월 현재 14개, 투자에 관심을 보이는 기업도 15개에 달한다.
이처럼 새만금산단에 투자가 몰리는 것은 행정기관의 투자 촉진 정책 및 1195원/㎡의 낮은 임대료, 50년 임대에 추가 50년 연장 등 각종 인센티브가 제공돼 기업들의 구미를 당기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1785원/㎡의 임대료가 적용되는 국가산단은 조선·자동차로 대변되는 주력산업의 위기와 함께 급격하게 쇠퇴·영세화하고 있다.
실제 조선·자동차 산업이 몰락하면서 올 4월 기준 국가산단 내 가동률은 72%에 그친다.
이에 따른 고용인원도 자동차·조선 업체들이 호황을 누리던 2013년 1만8000여 명에서 지난해 말 기준 9600여 명으로 48% 감소했다.
생산액은 2013년 9조4500억 원에서 지난해 말 기준 6조 원(36%감소)으로 주저앉았다. 특히 수출은 2013년 41억 불에서 11억8000만 불로 71%나 격감했다.
이런 가운데 새만금산단을 국가산단으로 전환하기 위한 국토부의 심의가 진행 중으로 새만금산단의 확장에 따른 기존 국가산단의 위축은 갈수록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새만금산단은 R&D 및 태양광 기업을 직접화하고, 기계 및 조선·자동차 업종이 강세를 보였던 국가산단에는 전기차 및 제조업, 해상풍력발전 기업의 유치를 통해 양 산단의 공동 활성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국가산단에서 제조업을 경영 중인 임 모씨는 “새만금산단에 기업 입주가 몰리는 것은 개발 주체인 새만금개발청, 군사시 등 행정기관의 새만금산단 활성화 의지 때문”이라며 “새만금산단에는 대기업 위주의 태양광 사업을 국가산단은 풍력발전 및 전기차 관련 업체의 입주를 유도하는 등 지역 산업 육성 전반에 대한 계획을 세워 양 산단이 함께‘공생’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