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 후 귀가해 소파에 누워 ‘TV 다시 보기’로 놓친 드라마를 보면서 스마트폰으로 저녁 식사를 주문한다. 사람을 집으로 불러 자녀나 반려동물을 돌보게 하고 출장 청소나 세차 등을 이용한다.
이렇게 집에서 각종 경제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홈코노미(Home+Economy)’ 관련 지출 건수가 1년 반 동안 2배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KB국민카드는 △ 음식 배달앱 △ 가전 렌털 △ 일상용품 배송 △ 집안·차량 관리(자녀·반려동물 돌봄 서비스와 출장 청소·세차 등) △ 홈엔터테인먼트(영상·음악·도서·게임 등 구매) 등 5개 업종을 홈코노미 관련 업종으로 규정하고 지난해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25~54세 국민카드 고객이 이들 업종에서 결제한 4천492만건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올해 2분기(4~6월) 이들 홈코노미 관련 업종의 하루 평균 카드 결제건수가 작년 1분기의 1.9배로 증가했다.
이 중에서도 음식 배달앱 결제 건수가 2.14배로 증가, 5개 업종 중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이어 집안·차량 관리(2.01배로 증가), 홈엔터테인먼트 관련(1.83배로 증가), 가전 렌털(1.35배), 일상용품 배송(1.38배로 증가) 등 순으로 증가율을 보였다.
홈코노미 관련 업종을 가장 많이 이용한 연령대는 25∼34세로 전체의 53.7%를 차지했다.
이중 35∼44세 여성(19.1%)은 건당 2만8천840원을 결제, 전체 평균 결제액(2만4천393원)을 웃돌았다.
한편 국민카드가 홈코노미 관련 업종을 이용한 고객 1천200명을 상대로 모바일 설문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35.9%가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작년보다 늘었다’고 밝혔다.
여유 시간이 생겼을 때 ‘집에서 보낸다’는 답은 51.7%로, ‘외부에서 보낸다’는 응답(21.2%)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이유로는 ‘집에서 보내는 게 진정한 휴식이라고 생각하기때문’이라는 답이 49.5%로 가장 많았다.
이어 ‘내가 원하는 활동을 편하게 할 수 있어서’(32.4%), ‘집에서 즐길 수 있는활동이 많아서’(30.7%) 등 순이었다.
집에서 보내는 시간을 두고서는 ‘여유로움’(45.1%), ‘휴식’(34.3%), ‘콘텐츠’(26.5%) 등의 순으로 꼽았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