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감염 예방 강화 위해 12억 원 들여 각 학교에 물품 보급
품귀·배송지연 현상에 일부 학교 “물건 구하다 시간 보내 제때 못 쓰기도”
"체온계까지 예산 지원하는데 마스크 제외 납득 어려워"
전북교육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해 12억 원에 달하는 긴급 위생물품 지원에 나섰지만 정작 학교에서 제때 물품 조달을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감염 확산 우려로 인한 품귀현상에 예산보다 현물을 내려주는 게 더 실효성이 있지 않겠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전북교육청은 도내 학교 현장 내 감염증 대비를 위해 예비비 중 12억 182만 4000원을 투입해 대비 물품 지원에 나섰다. 개학 시기와 맞물려 많은 학교 학생들이 등교함에 따라 학교 단위 물품 부족을 막고, 학생 안전 강화를 위해 도교육청이 자체적으로 나선 것이다. 지원 목록은 손소독제, 알코올 스프레이, 향균비누(손세정제 포함), 체온계(비접촉식 권장)다.
하지만 학교가 정작 예산 지원을 받아도 전국적으로 마스크·손세정제 등의 품절·배송지연 현상이 잇따라 제때 쓰이지 못하고 있는 사례들이 발생했다.
1월말 예산을 받아 물품을 주문했던 전주 A초교는 7일 종업식을 앞둔 6일까지도 배달이 깜깜무소식이다. ‘신종 코로나’ 고위험 기간엔 학생들이 물품을 사용하지 못하고, 3월 개학 이후에나 쓰이게 된다.
이는 전주 B중학교도 마찬가지였다. B중학교 관계자는 “상위기관 차원에서 공적 목적으로 물품 일괄 구매를 해 나눠줬다면 예산이 더욱 적재적소에 쓰였을 텐데, 각개전투로 하다 보니 (지원 정책이) 덜 와 닿는 게 있다”고 말했다.
‘마스크’가 구매 가능 물품 목록에서 제외된 것에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물품 구매를 결정할 당시인 1월 중순~말에는 개학한 학교가 많지 않아 마스크 사용량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이미 학교에서 미세먼지 등으로 마스크를 어느 정도 구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1월 말부터 본격적으로 학교 개학시기인 데다 마스크가 일회성 소모품으로 여겨지는 만큼 현장에서는 마스크 구매의 필요성이 크다. 도교육청은 각 학교 자치비로 구입하라는 방침이지만, 2월말까지 2019학년도 예산을 적용하는 만큼 학교마다 남겨 놓은 예산이 빠듯한 경우도 있다. 보통 학교에서 구매했던 미세먼지 대비용 마스크는 단가가 200원가량이지만, 현재 신종 코로나 대비가 가능하다고 알려진 마스크 가격은 평균 2000~3000원이다.
도내 C중학교 교장은 “물론 학생 안전을 위해 학교 예산 이월금을 전부 쓰거나 내년도 예산을 끌어오는 등을 해서라도 마스크까지 구매하겠지만, 어차피 전북교육청에서 지원해줄 거면 마스크는 왜 지원대상에서 제외하는지 납득이 잘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