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마스크수급안정대책에 따라 전북지역 농협 하나로마트와 우체국 등에서 마스크 판매에 돌입했지만 곳곳에서 허점이 드러나면서 고객들의 볼멘소리가 커지고 있다.
변동된 마스크 판매 금액과 시간을 사전에 통지 받지 못하거나 이와 관련해 안내문이 부착되지 않은 곳도 있는가 하면 판매처로 지정됐지만 실제 판매하지 않는 곳도 발견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불거지면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달 27일 읍·면 단위(6급 이하 관서) 우체국들은 오후 2시 세트당 4000원에 판매를 돌입한 이후 이달 1일부터 정부의 방침에 따라 마스크 판매가 오전 11시로 변경됐고 가격도 5000원으로 올랐다.
하지만 이 같은 사실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으면서 오른 가격에도 마스크를 구입하지 못하고 허탕을 치는 고객들이 속출했다.
이날 오전 9시부터 완주군 용진 우체국 주변에는 줄을 서 있는 모습이 보였지만 오후 1시 30분에도 변동된 사항을 안내받지 못해 마스크를 구입하지 못하고 돌아가는 고객들의 불만이 최고조에 달했다.
또한 마스크 구매를 위해 하루에 100여 명이 찾아오지만 직원은 3명에 그쳐 불만이 속출했지만 경찰을 동원해 소비자들을 통제하거나 불만을 잠재우면서 원성을 사기도 했다.
완주 봉동 우체국에서는 10분 만에 마스크가 매진됐지만 자리를 맴돌며 부족한 마스크 문제와 지역민들의 수급 문제 등으로 고성과 함께 싸움터를 방불케 했다.
2만여 명이 넘는 인구 수에 비해 턱 없이 부족한 마스크와 타 지역에서 찾아오는 다수의 소비자들로 거주자들은 몇 번을 방문해도 마스크 구하기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고령자나 접근성이 낮고 공급여건이 원활하지 않은 읍·면 지역에 한해 마스크를 판매한다는 취지와 어긋난 상황이다.
농협 하나로마트에서도 지난달 29일 1차 마스크 판매에 이어 이날부터 본격적으로 판매에 돌입했지만 오후 2시부터 판매가 시작된다는 사전 안내를 받지 못해 오전 10시부터 발길이 이어졌다.
도내 하나로마트 4곳을 확인해본 결과 1곳에서만 입구에 마스크 판매시간과 수량 관련 안내문이 부착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심지어 농협 전북지역본부에서 마스크 판매처로 지정된 하나로마트를 발표 했지만 이중 실제로 판매를 하지 않는 곳도 발견됐다.
마스크 판매 여부에 대해 문의했지만 관계자로부터 이곳에서는 마스크를 판매하지 않으며 다른 하나로마트에서 구매하라는 답변만 들을 수 있었다.
하루에 수 백명이 마스크를 사기위해 밀려오고 있는 상황 속에 고객들과의 마찰과 불만이 커지고 있어 우체국과 농협이 소비자들의 요구사항과 불만을 해결 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