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주민 반대·신규 아파트 포화 등 이유로 반대
그러나 대부분 임대아파트로 서민주거 안정 해법으로 평가
노후된 역 뒤편 아파트 외 추가 대책 없이 묻지마 식 반대
시의회 “아파트 아닌 친환경 주거단지 등 해법 내놔야”
속보=전주시가 마땅한 대책도 없이 역세권 개발을 반대하고 나선 것은 섣부른 결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12일자 1면 보도)
특히 시는 주민 반대와 아파트 공급률 상승 등의 이유를 들어 국토부와 LH에 사업취소를 요청했지만 주민간 찬반이 엇갈리는데다 이곳에 건립될 아파트 대부분은 서민 주거형 임대아파트라는 점에서 반대 명분도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13일 전주시는 국토부와 전주역세권 개발사업자로 나선 LH 등에 사업 반대 입장을 전달한데 이어 올해에는 사업 취소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사업 취소 요청은 전주 전역에 대한 도시개발이 상당히 진행돼 아파트가 포화상태에 놓인 이유가 가장 크다. 여기에 일부 주민 반발도 심화된다는 것이 주요 이유다.
시 관계자는 “LH와 국토부에 사업 반대 입장을 전달했고 이후에는 사업취소를 공문으로 요청했다”며 “당분간 전주권에는 도시개발 사업을 하지 않을 방침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주의 관문이 개발 사각지대에 놓여 낙후될 대로 낙후돼 지역 이미지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전주는 혁신도시, 에코시티, 효천, 만성지구 등 도시개발 사업이 도시 전역에 걸쳐 진행돼 포화상태에 놓인 것은 맞지만 아직 임대아파트는 상당히 부족하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임대아파트 5000세대 공급을 통해 서민주거안정과 상승한 아파트 값을 잡겠다는 공약을 내걸었지만 계획만큼 공급되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LH는 이곳에 임대아파트 5258세대를 짓겠다는 계획이어서 부족한 임대아파트 확충과 낙후된 지역의 재생, 아파트 값 안정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반대 명분이 떨어진다.
더욱이 일부 주민이 반대하고 있지만 찬성하는 주민도 상당해 제대로 된 주민 설명이나 여론 수렴 없이 주민을 핑계 삼음으로써 행정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
여기에 대규모 아파트 건설에 대한 반대입장을 밝히면서 낙후된 이곳을 어떤 방식으로 재생이나 개발할지에 대한 대책도 내놓지 않아 주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전주시의회 서난이 의원은 “전주시가 대규모 아파트 건설에 반대한다고 하지만 아파트가 아닌 친환경 주거단지나 다른 방향의 개발도 가능하다”며 “역세권 주변에 걸맞은 개발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LH는 전주역 뒤편 106만5500㎡를 개발하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민간임대아파트 3645세대와 공공임대 1613세대, 분양 2130세대, 단독 164세대를 조성해 노후하고 낙후된 역세권 개발을 도모할 계획이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