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이 익어가니 숟가락만 얹나? 시공예정사가 발을 빼면서 수년동안 추진이 중단돼 왔던 전주 기자 촌 재개발 조합이 새로운 시공사를 만나 사업이 순탄하게 진행되자 뒤늦게 일부 조합원 사이에서 ‘시공사 교체설’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사업 막바지단계에서 시공사가 교체될 경우 사업추진에 지장을 줄 뿐 아니라 시공비 인상과 위약금 문제로 조합원들의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전주 기자 촌 재개발은 14만1684㎡ 부지의 낡은 주택 등을 헐고 2225세대의 신규 아파트를 건설하는 대규모 사업이며 전주시로부터 지난 2006년 예비정비구역 지정을 받은 이후 수도권지역 유명 브랜드 업체인 A건설을 시공예정사로 지정하고 주민들이 동의를 받아 지난 2010년 조합설립 인가를 마쳤다.
그러나 당시 부동산 경기가 하락하면서 A건설이 사업추진에 대한 일체의 사업비 지원과 참여를 중단하면서 6년동안 사업이 중단돼 자칫 무산될 위기마저 맞게됐다.
우여곡절 끝에 조합은 조합원총회를 통해 A건설과 계약을 해제하고 지난 2016년 조합원 총회에서 추가부담금 없는 3.3㎡당 300만원대라는 저렴한 시공비를 조건으로 내세운 영무토건(예다음)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시공사 선정으로 사업추진이 안정화되면서 기자 촌 조합은 지난 2019년 사업시행인가를 받았고 오는 30일까지 조합원 분양에 이어 올 12월까지 관리처분인가를 받아 2021년 3월부터는 이주 및 철거 이후 본격적인 착공에 돌입할 예정이다.
조합 설립 당시만 해도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일반 분양분이 부담으로 작용했지만 전북지역 신규 아파트에 수천만원에서 최고 1억 원까지 웃돈이 발생하는 등 전주지역 아파트 분양시장이 호황을 맞고 있고 영무토건도 전국적으로 10여곳에서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등 전국에 2만 세대의 아파트를 분양, 브랜드 가치가 크게 상승하면서 성공적인 일반분양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문제는 상황이 이처럼 호재로 바뀌면서 뒤늦게 시공권을 따내려고 조합원들을 개인적으로 접촉해 시공사 교체를 부추기는 정황이 파악되고 있어 자칫 조합내부 갈등으로 번지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조합원 내부에서도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시공사 교체는 사업추진이 늦어질 수 있는 데다 시공비가 3.3㎡당 100만원이상 올라가는 것은 물론 막대한 추가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2019년 8월 서울중앙지방법원이 조합의 일방적 계약해지로 수백억원의 위약금을 시공사에 지급하라는 결정이 내려진 판례도 있어 영무토건을 배제하는 데도 여의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경기침체를 이유로 발을 빼면서 사업이 무산될 위기까지 몰고갔던 회사를 또다시 시공사로 선정한다는 것은 명문이 없다는 게 조합원들의 지배적인 생각이다.
노승곤 조합장은 “조합원들이 너무 지쳐있어 조합이 소송으로 사업이 중단 되거나 지연되어서도 안 되며 사업추진 속도에 더욱 힘쓰기 위해 조합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시공사 측에 컨소시엄 관련 의견을 건의한 바 있다”며 “다만 조합과 시공사간의 체결한 공사도급(가)계약서의 공사비와 계약내용 등이 동일하게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