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지역 재개발 사업에서 원주민 입주율이 10% 미만에 머물고 있는 것과는 대조
올 9월 관리처분 총회이어 2021년 3월경 이주 및 철거이후 본격 착공 예정
대단위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전주 기자촌 구역의 조합원분양이 90%에 인접한 것으로 나타나 성공적인 사업추진에 힘이 실리고 있다.
9일 전주 기자촌 재개발 조합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이달 7일까지 조합원 분양신청을 받은 결과 분양률 87.03%를 달성했다.
이 같은 분양률은 행불자, 상속 불가자 등 5%로 제외했기 때문에 실제 분양률은 90%를 넘는 것이어서 조합원들의 호응 속에 분양이 진행됐다는 게 조합측의 설명이다.
수도권 등 대부분 다른 지역의 재개발 사업구역의 원주민 이주율이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과 비교할 때 이 같은 분양률은 이례적으로 높은 것이어서 향후 사업추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른 지역의 경우 높은 감보율에 따른 재산손실 문제와 턱없이 높은 분양가 때문에 수억 원의 빚을 떠안아야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원주민들이 현금청산을 받고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고 있는 반면 기자촌의 경우 비교적 저렴한 시공비와 2000세대가 넘는 대단위 아파트가 갖는 프리미엄이 높은 조합원 분양률을 이끌어낸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주지역 아파트 분양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는 상황에서 인근에 전주시청, 전주고등학교와 홈플러스 등 유리한 환경요건도 주요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지난 2006년 전주시로부터 예비정비구역으로 지정받아 재개발사업이 추진된 전주 기자촌은 당초 시공예정사가 발을 빼면서 6년동안 사업이 표류해왔지만 지난 2016년 영무토건을 새로운 시공사로 선정하고 건축심의와 사업시행인가를 마치고 오는 9월 관리처분 총회에 이어 내년 3월 조합원 이주 및 철거이후 본격 착공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조합은 전주 완산구 노송동 395-3 일대 14만1684㎡ 면적에 지하 3층에서 지상 25층에 이르는 공동주택 28개동 2225세대(임대 112세대 포함)와 부대복리시설을 공급할 계획이다.
조합 관계자는 “전주 최적의 주거단지로 각광을 받으면서 지난 2006년 예비정비구역으로 지정받은 16곳의 재개발 구역 가운데 가장 빨리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그동안 수많은 진통을 겪으면서 사업이 지연돼 왔다”며 “전주지역 분양시장이 호황을 맞고 있는 현 시기를 놓치면 안 되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착공해 준공을 마무리하기 위해 사업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