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지역 관련 업체 하소연, 대책 마련 촉구
“고창군의 레미콘조합 가압류 사태로 애꿎은 업체들만 선의의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해결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고창군이 전북서남권레미콘조합의 결제계좌를 가압류하면서 군산 등 관련 업체가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급기야 고창군청에서 집회를 열고 “영세한 중소 레미콘사가 부도 위기에 놓여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군산시전문건설협의회와 조합 측에 따르면 고창군은 심원국민체육센터 안전 문제와 관련해 시공업체와 감리업체·레미콘협동조합 등을 대상으로 민사소송(손해배상)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지난 2013년 7월 준공된 심원국민체육센터 건물에서 하자가 발생, 이에 대한 정밀 안전진단에서 최하등급인 ‘E등급’을 받은데 따른 조치다.
이곳 센터는 지난해 10월께 건물 내외부에 콘크리트 박리·박락 현상이 발견돼 사용 중지 조치가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7년 전 공사 당시 A업체가 노출 콘크리트 방식의 설계에 따라 레미콘을 공급했으며, 이후 문제가 발생하자 고창군은 A업체와 이 업체가 소속된 전북서남권레미콘조합의 조달청 거래 계좌 등에 35억 원의 가압류를 했다.
지난 2008년 설립된 이곳 조합은 현재 군산 8개, 정읍 2개, 고창 7개 등 총 17개의 업체가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문제는 고창군이 조합에 가압류를 내면서 군산 업체를 비롯해 다른 업체들까지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는 것.
가압류로 인해 조합 회원사들이 조달납품 대금을 받지 못해 경영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가 하면 건설현장 관급 레미콘 공급에 차질을 빚으면서 건설업체들도 공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군산의 경우 업체마다 평균 5억 원에 달하는 관급 물량 대금을 지급받지 못하고 있으며, 80여대의 지입차량도 멈춰 선 것으로 알려졌다.
고성식 대한전문건설협회 군산시협의회장은“가압류 여파로 (레미콘)관급 자재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사급으로 물량을 받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비싼 단가여서 현장의 고충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건설업계도 큰 부담과 함께 피해를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북서남권레미콘조합 한 관계자는 “고창군이 특정한 업체에서 공급한 레미콘 품질을 문제 삼아 다른 업체들에게 연대 책임을 묻는 것은 잘못된 처사”라며 “하루 빨리 해결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고창군은 “조합 측과 해결책을 찾기 위한 논의를 벌이고 있는 중”이라며 “현재 확보된 채권에 상응하는 대안 채권을 제시할 경우 법률적 검토를 거쳐 가압류를 해지하는 방법 등도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