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2일 EU와 그린뉴딜 국제공조 체계 공고화
전기·수소 친환경차 등 전북 미래산업과 연계 가능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확산, 그린모빌리티 등 그린뉴딜에 함축
우리나라와 유럽연합(EU)간 ‘그린뉴딜 국제공조’ 체계가 공고해지면서 ‘그린뉴딜 중심지’를 표방한 전북에 기회가 찾아왔다.
유럽연합이 설계한 그린뉴딜 주요정책에 해상풍력발전과 전기·수소 친환경차 보급 등을 우선으로 하는 전북의 비전과 맞닿아있기 때문이다. 특히 환경과 경제문제 함께 얽힌 그린뉴딜 특성 상 지역 간 국제협력은 불가피하다는 게 정부와 도내 지자체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전북에서는 앞서 익산시가 먼저 행동에 나섰고, 유럽연합 측은 전북의 가능성에 큰 관심을 보였다. 실제 익산시는 지난15일 주한 유럽연합(EU) 대표부와 그린뉴딜정책에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합의한 바 있다.
환경부는 22일 유럽연합 본부가 있는 벨기에 브뤼셀을 화상으로 연결해 한-유럽연합 그린딜 정책협의회 제1차 회의를 진행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그린뉴딜과 관련한 국제공조강화 방안이 다뤄지며, 양측 간 실효성 있는 협력과제가 도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정부와 유럽연합의 공감대는 계속되어왔고, 지난 4월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프란스 티머만 유럽연합 수석부집행위원장이 정책교류 필요성에 공감하며 급물살을 탔다.
우리 정부와 유럽연합 특히 전북이 강점을 보이고 있는 △녹색산업 육성 △녹색금융 활성화 기반 조성 △전기·수소차 등 그린모빌리티 보급 확대 △녹색 생태계 회복 등 그린뉴딜 핵심사업의 협력 강화를 위해 별도의 정책협의회를 지속적으로 가질 계획이다.
이중 전북은 신재생에너지 확산분야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중심지로 인정한 만큼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은 새만금 신재생에너지클러스터의 태양광 발전사업과 서남해권 해상풍력을 기반으로 국내대표 친환경에너지 메카로 떠오르고 있다.
유럽연합이 구축한 ‘그린딜’은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고, 화력발전 비중을 낮추는 것이 핵심으로 전북의 해상풍력단지와 새만금 태양광 사업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그린모빌리티 역시 수소나 전기를 활용한 친환경 상용차를 앞세워 그린뉴딜을 이끌어나갈 방침이다. 이는 유럽연합이 우리 정부와 기술공유를 하려는 중점 산업이다.
농장에서 식탁까지를 뜻하는 ‘F2F(Farm-to-Fork)’ 전략은 전북의 스마트팜 농생명밸리와도 연계가 가능하다.
한국과 유럽연합 간 가교역할을 맡고 있는 미하엘 라이터러 주한 유럽연합 대사 또한 국내지역 중 전북을 가장 많이 찾을 정도로 전북에 유독 깊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전북과 유럽의 소통창구 열려있는 만큼 이번 기회를 살려 전북 그린뉴딜 산업의 국제화를 이끌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배경이다.
라이터러 대사는 익산을 방문한 자리에서 “세계 인구의 약 54%가 도시에 거주하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며“(세계)모든 도시가 협력해 탄소가스 배출량을 줄이려면 그린뉴딜 정책분야에서 적극적인 국제적 공조가 구축돼야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