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더불어민주당이 특례시 법안 처리를 위한 당론마련에 대해 추후에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당초 시도지사협의회에서 반대 입장을 밝힌 데다 14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조찬회동에서도 기초자치단체들끼리 입장이 엇갈렸기 때문이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이날 모임에서 국가포용성장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특례시 지정을 당론으로 채택해달라고 요청했다.
김 시장은 “광역중심 배분으로 누적된 국가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광역시가 없는 전북에 특례시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광주시와 대전시가 광역시로 승격한 후 주변 시·군이 동반 성장한 사례처럼 특례시 지정이 주변 시·군의 동반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홍성열 충북시장군수협의회장(증평군수)은 특례시 지정을 두고 반대입장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특례시 지정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던 이시종 충북도지사와 같은 입장이다.
기초단체장들이 각자의 입장을 펼치는 가운데 정부와 민주당은 말을 아낀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영 행정안전부 차관은 발언을 자제했으며, 참좋은지방정부위원회 위원장인 홍영표 의원과 한정애 당 정책위의장은 “지방자치법이 꼭 통과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발언을 했다.
결국 전주 특례시 지정을 담보한 법안 처리 당론화는 결론을 내지 못했다.
회동이 끝난 뒤 홍 위원장과 한병도 행정안전위원회 간사, 김 시장, 윤화섭 50만 이상 대도시협의회 회장 등은 홍 의원실에서 티타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는 전주시가 속해있는 50만 대도시협의회를 만나고, 특례시 지정을 두고 추후 여러차례 논의과정을 거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세희 기자·김보현 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