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예술은 무엇이 될까? 인공지능이 사회를 통제하고, 생산과 분배를 정의하며, 인간보다 훨씬 냉철하게 효율적으로 세상을 관리할 수 있다는 미래의 세계를 상상해 볼 때에 인간은 무엇을 하며 어떻게 고유의 인간 가치를 추구해 갈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저버릴 수 없다. 지능 로봇이 뭐든 알아서 척척 진행시킬 수 있는 세상이 온다고 해도 인간은 로봇과 달리 꿈을 꾸고, 본능적 욕구를 충족시켜야 하며 사소한 권력을 두고 치열한 싸움을 하면서 살아가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원시시대부터 인간에게 예술적 표현 욕구는 발현되고 있었다. 구석기시대의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상은 인간이 여체를 빌려 종족 번식을 풍요하게 하고자 하는 간절한 소망을 비는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다. 기실 그 당시에는 예술이라는 개념도 없었고, 세상을 어찌 살아야 한다는 고민도 없었다. 본능적으로 원하는 바를 형상화시켜서 주술적으로 비는, 지극히 인간적인 모습의 원형을 보여준다.
AI 시대에는 다시 인간의 강렬한 존재 의식이 원시시대로 돌아가지 않을까 하는 상상을 해본다. 그동안 문명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시 했던 이성적 통제와 기억 및 관리 시스템을 AI가 알아서 잘 하고 있다면, 인간은 AI가 하지 못하는 인간 고유의 영역에서 절실하게 자신의 존재 가치를 증명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지 않을까?
기실 인간 고유의 본능과 욕구 그리고 도덕성 등의 가치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는 지극히 인간적인 영역에 한정된 것일 수도 있다. 로봇에게는 그러한 문제들이 오히려 사회적으로 혼란을 가져오는 비생산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로봇에 맞춰서 세상을 살 수는 없다. 로봇이 인간적 문제에 맞춰지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러나 AI가 끊임없이 발전하게 될 때에 언젠가 로봇이 인간을 철두철미 관리하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
아마도 AI 시대에는 예술가가 인간의 문제에 대하여 절절하게 표현하는 일이 잦게 될 것이다. 끝까지 인간으로 살아남기 위하여 처절한 투쟁을 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 인간답게 살고 그 고유의 가치를 추구해 갈 수 있을까? 자칫 인간은 스스로 만든 함정에 빠져 외마디 소리조차 못한 채 지구상에서 종적을 감출 수도 있다. 유토피아를 추구하다가 정반대의 블랙홀로 빠져들 수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