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전북 통합론’이 대두되면서 시·군을 통합생활권으로 묶는 광역대중교통망 구축도 급물살을 탈까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3일 도내 주요 시·군 등에 따르면 지역버스간 환승할인, 버스전용차로 급행버스 운행과 같은 주민들의 시·군간 이동 편리성과 신속성을 높일 광역교통체계 수립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객들의 교통편의 증진과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교통체계 개선 건의가 시내버스업계와 이용객들로부터 일찌감치 제기돼 왔다. 도내에서 버스를 타고 시·군간 이동하는 고정계층이 상당해서다.
지난해 권역별 버스노선운행 현황을 보면 일평균 전주~익산를 버스로 이동하는 버스운행횟수는 350여 회, 이용건수가 900여 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김제 노선도 270여 회·1100여 건, 임실~전주는 150회·460여 건이었다. 익산~김제도 350여 건, 익산~군산도 180여 건, 임실~진안도 240여 건이었다.
전주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익산까지 이동할 경우 현재는 1300원(현금)을 내고 전주시내버스를 타 환승장에서 내린 뒤 1400원(현금)을 내고 익산시내버스를 다시 타야 한다. 환승할인제가 도입되면 전주에서 1300원을 내고 환승장에서 100원만 더 내고 익산까지 가면 된다. 이와 관련, 전주와 익산, 완주 등 자치단체와 버스업계가 환승할인 수 차례 간담회를 진행했지만 가시화된 성과는 도출하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도내 주요 시·군이 교통개혁안을 발표하는 등 대중교통 변화 필요성을 공감하고, 최근 메가시티와 광역화를 추진하는 타 자치단체에서도 앞다퉈 대중교통망 확충을 추진하면서 전북에서도 광역대중교통체계가 수립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울산·경남연구원이 지난달말 발표한 ‘동남권 메가시티’ 구상안에서 광역급행버스 도입, 대중교통 통합요금제를 통한 환승편의 및 이용요금 인하가 나왔다. 제1과제로 1시간 내 일일생활권 구축과 이를 뒷받침할 광역 대중교통망 확충을 꼽은 데 따른 것이다. 충청권 4개 시·도에서도 지난달 주요 도시를 철도로 연결하는 광역 교통망 구축을 정부에 공동 건의했다.
정부가 7500여 억원 지원을 계획해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는 일명 ‘도로 위 지하철’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BRT·Bus Rapid Transit)도 전북에선 전주시가 지난 2일 도입한다고 밝히면서 도내 확대될 지 관심이 모인다.
이와 관련, 전북도 차원의 14개 시·군 공동협의가 우선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시·군에서도 교통개혁 필요성을 공감하지만, 상이한 이해관계와 주변 반발 등으로 추진력이 떨어져서다.
전주권 흡수 우려에 따른 논의와 시외버스·택시·터미널 인근 상인들의 반발, 노선·운행 축소 따른 보조금 부담 등도 공통적으로 직면해 있는 해결과제다.
시·군 관계자들은 “통합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교통환경 등을 고려하면 논의를 미룰 수 없지만, 실무자회의 등으로 자치단체들간 공감대를 형성해 신중하게 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도 관계자는 “전북 초광역화, 메가시티 구축에 있어 광역교통망 구축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연구용역 등을 검토하고 있다. 도 차원의 관련 시군 논의도 마찬가지다”면서도 “전주, 익산 도심권 내 교통체증 등의 문제는 인식하고 있지만 시·군간 이동에 있어 고속도로, 철도망 외에 추가적인 교통망이 필요한지는 검토해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