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소규모 제조업체들이 유통망 부족으로 경영 비효율과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자체 유통망을 갖추기에는 여력이 부족해 비효율적인 시스템에 적응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지역 상공업계에 따르면 도내 직원 10명 미만 소규모 제조업체들은 과도한 물류비용과 이에 따른 판매 부진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조원가 중 물류비용이 통상 대기업은 3~4%에 그치지만 소기업은 30%에 육박한다.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마진을 낮추고 대기업 판매망에 높은 수수료를 지불하면서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판매하는 상황이다.
지역 소규모 농산물가공업체가 원재료인 농산물을 구입하기 위해 광주나 대전으로 화물차량을 보내 전북지역 생산물을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 공판장 등에서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지만 소비자를 직접 겨냥해 최상급 농산물을 판매하는 탓에 마진이 남지 않는다. 가공품을 만들기 때문에 최상품의 농산물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에 소규모 제조업체는 필요한 수준의 농산물을 찾아 다른 지역으로 눈을 돌리게 된다.
대형 유통업체들은 농가를 대상으로 농산물을 대량 구입해 대도시 인근 물류 거점센터로 가지고 간다. 소규모 제조업체들은 원재료가 몰리는 곳으로 비용을 들여가며 찾아가야 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made in 전북’ 농산물을 대전이나 광주 같은 지역에서 다시 사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 오프라인 위주 판매 방식에서 온라인 판매 시대로 변화는 시대 상황도 많은 소규모 제조업자들에게는 부담이다. 제조업자들이 잘 알지 못하는 온라인 판매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온라인 판매가 새로운 기회가 아닌 전문 인력 고용과 마케팅 비용이 소요되는 진입장벽이 되는 것이다.
더구나 업계에서는 지자체의 택배비 지원 같은 물류비 지원사업이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일부 업체들에게 몰리는 현상이 있다고 지적한다. 지원을 위해서는 기업의 실적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규모 업체는 지속적으로 소외되는 상황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 지역 소규모 제조업체들은 유통망 확보를 위한 지자체 차원의 지원을 바라고 있다.
전주 한 소규모 제조업자는 “기업을 운영하다보면 많은 문제가 발생하지만 유통이 가장 문제다. 고창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대전에서 사오니 답답한 노릇이다”면서 “지자체에서 실태를 정확히 파악해 지원책을 만들어주면 좋겠다. 소규모 기업끼리 뭉쳐 자구책 마련을 위한 논의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