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8:14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김용호 전북도립국악원 학예실장의 전통문화 바라보기] 동해안 별신굿과 기장 멸치

굿당 앞에 걸어둔 등. /사진=문화재청 누리집
굿당 앞에 걸어둔 등. /사진=문화재청 누리집

요사이 필자는 요리에 푹 빠졌다. 특히 요리 프로에 넋을 잃었다. 참으로 세상엔 맛난 음식과 재료가 너무나 많다. 그동안 그러한 것을 몰랐던 것이 왜 이리 창피한지. 물론 창피한 일까지는 아니지만 바로 가까이 좋은 재료와 방법이 있는데도 그저 인스턴트 음식으로 끼니를 허망하게 채웠던 불행한 현실이 참으로 부끄럽고 나 자신이 유감스러웠다. 오늘은 TV에서 유난히 멸치국물에 대해 장황하다. 그래! 바로 그거였어! 알고는 있었지만 너의 조그마한 몸에 그리 고소하고 후덕한 감칠맛이 있었다니 정말 멸치야 너 반갑다!

멸치는 참으로 조그만 녀석이다. 그런데 정말 고소하고 맛있다. 아주 조그마한 놈부터 중간, 아주 커다란 놈까지 종류도 참 다양하다. 우리나라 멸치가 유명한 장소는 크게 두 군데로 말할 수 있다. 물론 남해와 서해 바다에서 고루 맛볼 수 있는 물고기지만 잡는 방법과 시기, 저장과 요리 방법에 따라 그 고장의 특징과 맛이 다르다. 그중 필자가 추천하는 첫 번째 장소는 부산 기장이다. 그 이유는 기장이 전국 멸치 유자망(流刺網) 어획의 6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많은 수확량이 있는 곳이며 멸치를 싱싱한 회로 먹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기장 대변항을 가면 그 참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두 번째 참맛의 추천지는 남해 죽방 멸치다. 전통의 방식 그대로 대나무 방을 만들어 멸치를 몰아 잡는 방식으로 그곳은 참으로 천연의 맛이 있다. 하지만 그만큼 보통 멸치에 비해 값은 비싸다. 모두 각각 특징과 맛이 다른 이유가 있으니 참으로 멸치, 당신은 대견하기까지 하다.

멸치의 고장, 부산 기장은 동해안과 남해안의 꼭짓점이다. 그 이유는 지리적으로 동해와 남해의 모서리 부분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늘날의 기장은 경남이 아닌 해양 도시 부산시로 소속되어 있다. 다양한 바다의 먹을거리가 많은 곳이기도 하지만 향토 신앙이 맥을 잇고 그 전통을 잇고자 했던 기원(祈願)의 장소이기도 했다. 저마다 근대화, 현대화로 어려워진 전통의 맥을 계승하기까지 얼마나 힘든 일이 많았을까? 멸치의 본산 기장에는 두 종류의 굿이 전승되고 있다. 하나는 부산 동래에서 강원도 고성군에 이르는 국가무형문화재 제82-1호 동해안 별신굿이 그것이요 또 하나는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23호 기장 오구굿이다.

어느 음식이든 합이 되어 고소함의 극치를 보여주며 우리 식탁의 풍요로운 맛을 책임지는 멸치. 그리고 우리네 마음과 몸을 위로하고 힘을 북돋아 주었던 동해안 별신굿. 이 모두는 오랜 시간 동안 나의 가족과 더불어 우리 공동체의 안녕, 행복을 위해 기원하며 음복했던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유산이자 보물이었다. 지나온 우리 민족의 4350여 년, 이제 앞으로 펼쳐질 일만 년을 위해 값진 우리의 문화 유산과 신토불이(身土不二) 향토 음식 자원을 잘 보존하여 굳건하고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들어야겠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