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환정 교수팀 ‘근접 광에너지 치료기’ 개발, 특허 출원
세포실험서 감염 바이러스 80% 이상 사멸, 숙주세포 무해
제품화 후 의료기기 안전성평가 진행 중…임상시험 준비 박차
기존 복용식 코로나19 치료제와 달리, 감염자의 코와 목에 광에너지를 쏴 코로나 19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의료계는 이 기술이 임상시험이 완료돼 상용화되면 확진자의 전염력 억제와 치료 기간 단축, 의료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환정 교수팀(핵의학교실)은 근접 광에너지 집적(集積) 조사기술을 이용한 근접광 치료기를 개발하고 원천 및 적용기술에 대한 국내 및 국제특허를 출원, 제품화과정을 마치고 임상시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바이러스와 결별을 의미하는 ‘바이 바이(Bye-Vi)’로 명명된 입에 무는 형태의 이 기기는 특정 파장대의 광에너지를 확진자의 코와 목에 직접 쏴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사멸시키거나 극도로 억제한다.
지난해 여름부터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가 충북대 수의대 이상명 교수팀과 진행한 연구결과, 코로나바이러스가 감염된 숙주세포에 광에너지를 30분 씩 2차례 쏘면 바이러스가 80% 이상 사멸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기술은 부작용이 없어 횟수를 늘릴 경우 치료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확진자의 코와 입를 통해 침투한 뒤 인후부에서 증식이 일어나고 이 중 일부가 폐로 침투해 폐렴 등이 급속히 진행되기 때문에 비강, 구강, 인후부의 바이러스를 지속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 증식 부분에 광에너지를 쏘는 방법이 정 교수팀의 기술이다.
현재 정 교수팀은 제품을 완성해 의료기기 안전성 평가를 진행 중이며, 바이러스 치료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임상시험 등을 준비하고 있다.
아울러 휴대가 가능한, 집에서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돼 자가격리 중에도 코로나 바이러스를 치료 할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 교수팀의 설명이다.
정 교수는 “근접광 치료기술은 바이러스질환에 대한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 숙주세포에서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기전을 억제하기 때문이며, 변이 바이러스에도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생산 및 임상적용에 제도와 재정 지원 등의 뒷받침까지 이어진다면 검증과정을 더욱 빨리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