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생각과 다르게 개개별 후보마다 셈법 차이
당헌당규 페널티도 삭제뿐만 아니라 현재 입당 시 넘어야할 관문 많아
현직과 일반 후보자 신분 등 고려사항 산재
그러나 대체적으로 재야 인물은 복당에 무게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초 과거 분당 등을 이유로 탈당한 사람들을 일괄 복당시키는 일명 ‘신년대사면’을 추진키로 한 가운데 전북 정치인들의 서로 다른 셈법이 복당 규모를 가르는 변수가 될 전망이다. 특히 민주당의 대통합 신호에도 도내 무소속 현직 기초단체장들 대부분 복당 대신 무소속 잔류를 선택하면서 다른 지선 후보들의 입장에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그러나 현직 단체장이 아닌 지선 후보자들의 경우 자체적인 조직을 꾸리거나 인지도를 쌓는데 있어 불리하기 때문에 대부분 복당을 선택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무소속 신분으로 한동안 재야에 머물렀던 정치인들의 복당 의지는 비교적 강한 편인 것으로 파악됐다. 민주당 또한 복당대상자들이 내년 6월 지방선거에 출마할 경우, 공천 심사에 적용되는 페널티는 대선 기여도에 따라 감면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복당이 확실시되는 인물은 전주시장 선거에 다시 출사표를 던진 임정엽 전 완주군수와 완주군수에 도전하는 이돈승 완주교육거버넌스 위원장, 정읍시장 출마 예정자인 이학수 전 도의원 등이다. 여기에 남원시장 출마를 결정한 강동원 전 국회의원의 복당 여부도 지역 내 최대 관심사다.
민주당은 페널티 규정의 감산 여부를 두고 논의를 진행 중이지만, 대체적으로 기존보다는 완화하자는 의견에 힘이 좀 더 실리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는 지선 출마자들의 복당결정에 도화선으로 작용할 것이란 게 중론이다.
당무위에서 해당 안이 최종 확정될 경우 지난 2016년 새정치민주연합(민주당 전신) 분당 사태 당시 국민의당으로 대거 이동했던 당원들이 일괄 복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2014년 만들어진 원외 민주당과 2016년 창당 후 국민의당과 합당한 국민회의 등 군소정당 인사들도 통합 대상이다.
다만 민주당은 5년 이내에 경선 불복으로 탈당하거나 부정부패 등의 문제로 징계 받아 제명된 경우는 복당 대상에서 제외해야한다고 보고 있어 최종안이 어떻게 도출되느냐에 따라 상당부분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총선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는 도내 정치인들은 지선 출마자들과 입장이 사뭇 다른 상황이다.
도내 정치권의 민주당 복당러시 규모는 지난 대선후보 경선때 이재명 후보를 도왔던 최형재 전 전주을 지역위원장이 언제 복당 신청서를 제출하느냐가 복당과 관련한 대표적인 척도가 될 수 있다.
최 전 위원장은 경선 불복으로 탈당했지만, 21대 총선 당시를 제외하고 민주당에 대한 높은 충성도를 보여 왔고, 지속적으로 복당시기를 조율해왔다. 하지만 페널티 규정이 그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무소속 잔류를 결정한 도내 단체장 3인의 상황을 볼 때 민주당 당헌당규에 명시된 감정규정 뿐만 아니라 페널티가 완화되더라도 공천을 받기 위해선 넘어야할 관문이 산재해 있다.
아울러 전북정치권에서 거세게 부는 ‘민주당지킴이 역차별론’의 명분이 적지 않다. 민주당 역시 일괄복당 원칙을 정하는 데 애를 먹고 있는 것도 역차별 논란이 내포하고 있는 딜레마 때문이다. 아울러 복당 인사들의 대선 기여도를 어떻게 객관화 할 수 있냐는 반론도 만만치 않은 점도 눈여겨 볼 사안으로 거론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