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니와의 연애도 실패하고 피케와의 결혼을 반대하던 부친이 사망한 이후 결국 피케와 정식으로 결혼하게 되는데, 이 일로 마침내 여성에게는 그나마 있던 관심마저 잃었던 모양이다. 여성이라는 존재마저도 세잔에게는 손이 미치지 않는 존재였던 것이다.
화상 볼라르가 전하는 에피소드에 의하면, 어느 날 둘이서 식사를 하는데 이야기가 마침 음담패설로 넘어 갔다. 그랬더니 세잔은 당황해서 볼라르를 손으로 저지하며 “이런 이야기는 젊은 여성이 있는 곳에서 하면 안돼요”라고 타일렀다. 볼라르가 깜짝 놀라 “여기에 젊은 여성이 어디에 있습니까?”라고 물었더니, 세잔이 정색하며 “가정부가 있잖아요”라고 대답했다.
그래서 볼라르는 웃으면서 “저 여자는 이런 것에 대하여 우리보다 훨씬 더 잘 알고 있습니다”라고 말하자, 세잔은 엄숙하게 “그럴지도 모르죠. 그러나 우리는 그녀가 그것을 알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척 하지 않으면 안돼요”라고 대답했다는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 세잔은 평생 여성에 대하여는 소년과도 같은 꿈을 잃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상황이 그러하니 1898년부터 1905년까지 7년에 걸쳐 그렸던 ‘대수욕도’에 나오는 여인들의 군상에 모델이 있을 리 없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남자들을 모델로 한 수욕도에서는 모델을 보면서 했는데도 말이다.
당시 세잔의 화실을 찾은 한 친구는 기겁을 하고 말았다. 화실에서 키우는 앵무새가 “세잔은 위대한 화가다”라고 악을 쓰며 반복하는 것이었다. 더군다나 그 모습을 보고 있던 세잔은 씽긋 웃으면서 “내 전속 미술 평론가야”라고 대답하지 않는가. 아이를 낳고도 10년 이상 결혼식을 올려주지 못했던 아내와 변덕스럽고 괴팍한 오빠의 시중을 들기 위해 결혼도 하지 못했던 누이동생에게 항상 신념처럼 들려주는 말은 “나는 위대한 화가다”였다. 실로 그는 현대미술의 길을 제시한 위대한 화가였다. 당시를 풍미했던 인상주의의 기교도 원근의 법칙도, 인물의 비례나 시선의 높낮이도 무시한 채 사물의 속에 혹은 이면의 관계에 숨어있을 ‘참다운 본질’을 찾아 영원할 수밖에 없는 진실의 무한한 숨결을 느끼고 표현할 수 있었던 사람이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