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고통이 3년째 이어지는 가운데 모처럼 만에 군산에서 반가운 소식이 들렸다. 공장이 멈춘 지 4년 7개월 만에 군산조선소 재가동의 첫 단추가 끼워졌기 때문이다. 이를 공식화 하는 상호 협약식이 24일 현지에서 열려 내년부터 선박블록 연 10만톤을 생산한다고 밝혔다. 군산을 비롯한 지역 경제가 침체를 거듭해 왔기에 이번 재가동은 감회가 남다를 수밖에 없다. 송하진 도정과 신영대 의원, 강임준 시정의 삼각편대가 이뤄낸 결과물이기도 하다.
사실상 1월만 해도 재가동 문제는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중공업 – 대우조선해양 합병안이 유럽연합에 의해 거부되면서다. 당초 LNG 운반선 세계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한 두 회사의 합병 자체가 무리였다는 지적이다. 초대형 조선사의 독과점에 따른 손실이 불가피한 유럽에서 이를 승인해줄 리 만무였다. 이런 상황에서 차라리 홀로서기 하는 편이 낫다며 자강론 주장도 나왔다. 그들 말인즉슨 2019년 합병 추진 당시에 비해 지금은 대내외 여건이 호전됐다는 설명이다. 실제 현대중공업의 경우 작년 선박 수주량이 전년 대비 110% 이상 급증해 호황을 맞고 있다는 것. 전문 인력이 모자라 아우성을 칠 정도다. 그리고 합병을 둘러싼 노조의 반발 기류도 껄끄러운 게 현실이다.
지난 연말 본보 1면에 재가동 관련 기사가 톱을 장식하자 도청과 정치권에선 난감한 표정을 지으며 극도로 말을 아꼈다. 유럽연합의 합병 심사를 앞두고 회사 측이 송 지사와 신 의원에게 발표 시기를 놓고 보안을 요구했다는 설이 있다. 이런 분위기를 감지하지 못한 일부 언론과 단체들은 정치권 유착설, 특정인 띄우기 등 추측성 보도와 입장문을 쏟아냈다. 심지어 본보 특종을 깎아내리기 위해 일부 언론은 반대 기류 기사를 쓰기도 했다.
군산조선소 향후 전망에 대해서도 눈여겨 볼 대목이 있다. 기업은 무엇보다 이익을 최우선 가치로 내세우는데 이 회사가 52만평 부지에 1조 2000억을 쏟아 부어 공장을 세웠다는 것 자체가 미래 잠재력을 증명한다. 그동안에도 가동은 중단됐지만 실제 유지보수 인력 수십 명을 고용해 공장 시설을 관리해 왔으며, 이들 인건비와 세금 전기세 등 한 해 100억 정도 경비가 소요됐다고 한다. 그럼에도 도민들이 군산 공장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 것은 도민 혈세 470억이 이미 투입됐고 앞으로도 지원이 되기 때문에 전북과의 상생 관계를 일깨워 준 셈이다.
선거를 앞두고 표심잡기용 애드벌룬 아니냐는 시각도 있지만 전북 입장에선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현안이기에 그나마 다행이다. 물론 완전한 재가동은 아니지만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굳게 닫혔던 출입문이 열리는 것부터 다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전체 맥락을 보더라도 송 지사와 신 의원 역할이 컸다는 것은 짐작할 수 있다. 다만 불행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책임지는 자세 또한 그들 몫이다. 김영곤 논설위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