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6:27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일반기사

세월과 시간의 흔적 담긴 작품 '한자리'

22일까지 진북생활문화센터서 생활문화 전시
뜨개로 뱅글뱅글...김점순 작가의 '사랑' 담긴 작품
"취미로 뜨개질을 했다.

image
코바늘 뜨개옷과 한지공예작품, 규방공예에 빠질 수 없는 베갯모 자수/사진=진북생활문화센터 블로그

“내가 취미로 뜨개질 허는 것을 좋아혔어. 내가 입은 것 허고 손녀, 우리 공주 준 것 허고, 한지공예 했던 것 모아서 전시허는 건데, 특별한 것은 없어.”

진북생활문화센터(센터장 한천수)에서 실 소재 작품, 한지 공예 작품을 전시하고 있는 김점순(84) 작가의 말이다. 

image
아들 장가보낼 때 보낸 종이(합지)함, 소반

김점순 작가는 오는 22일까지 진북생활문화센터 2층 전시공간 소소에서 시간과 생활 담긴 작품을 전시하는 생활문화 전시전 ‘뜨개로 뱅글뱅글’을 연다.

전시에서는 김점순 작가가 하나씩 하나씩 떠서 입었던 옷, 대학생과 대학원생이 된 손자, 소녀의 돌 무렵 선물했던 옷과 가방, 며느리를 위해 선물한 옷, 열쇠집, 골프장갑 등 생활과 밀접한 작품 등을 볼 수 있다. 가족에 대한 정성과 세월, 시간의 흔적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작품으로 가득하다.

image
딸 시집갈 때 실제 폐백상

전시 작품 중 실 소재 작품은 처음부터 끝까지 한 올의 실로, 한지 공예 작품은 종이류를 활용해 견고한 합지와 기성 도안, 직접 도안한 종이 등을 덧붙여 만든 것이다. 전시된 작품은 짧게는 작년부터 길게는 70년을 훌쩍 넘긴 실생활에 사용하는 생활 물품이다.

김점순 작가는 마스크를 목에 걸 수 있는 마스크 스트랩을 일일이 떠서 진북생활문화센터 회원과 사무실 직원들에게 선물했다. 이에 사무실 한 직원은 김점순 작가의 손재주를 단번에 알아채고 전시를 제안했다. 김점순 작가의 전시가 열린 이유기도 하다.

image
뜨개로 만든 덧신과 장갑, 부채집

김점순 작가는 "취미로 뜨개질을 했었다. 그러다 보니 뜬 게 많이 있었고, 주로 내가 입은 것을 전시하게 됐다. 가족들이 모두 각자 바쁘게 살다 보니 전시회 한다고 모두에게 알리지는 못했다. 다 바쁘게 사는데, 알려서 뭐 하겠나"라며 "매일 ‘우리 공주’라고 부르는 손녀가 있는데 작품 예쁘다고, 친구들도 예쁘다고 한다고 전화 왔다. 그 한 마디도 내겐 힘이 됐다"고 말했다.

전시 기간 내 화요일과 금요일 2시에서 4시 사이에는 김점순 작가도 만날 수 있다. 전시 관람은 무료다. 진북생활문화센터 전시, 관람 및 생활문화 관련 프로그램 문의 등 자세한 내용은 진북생활문화센터 전화(063-275-0186)로 문의하면 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점순 #진북생활문화센터 #뜨개로 뱅글뱅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