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항 역사문화공간 종합정비 용역서 의견 제시
문화재 위원 “근대역사공간과 맞지 않다” 지적
시, 신중하게 접근⋯시민 등 의견 수렴 뒤 결정
‘존치냐 철거냐’
군산시가 지역 주요 관광시설 중 하나인 ‘진포해양공원’에 대한 철거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는 군산 내항 역사문화공간 종합정비 용역에서 이곳 공원을 철거하는 안이 제시됐기 때문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전국 최초로 면 단위 국가등록문화재(제719호)로 지정된 ‘군산 내항 역사문화공간’에 대한 종합정비가 올해 시행된다.
이 사업은 내항 일원의 근대문화유산 등 역사문화자원의 보존 및 활용을 통해 옛 모습을 회복하고 역사·문화적 가치를 되살려 지역 활성화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사업에 앞서 시는 6억 원을 들여 ‘군산 내항 역사문화공간 학술조사 및 종합정비계획 수립 용역’을 진행한 바 있다.
이 용역에는 군산항역과 상옥창고 및 미곡창고, 산업유산 및 단위건물유산 등 옛 경관 회복과 문화재와 단위건물 유산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보존 가치에 생활 편의를 더한 활용계획 등이 담겨져 있다.
특히 진포해양테마공원이 위치한 일제강점기 블록(내항2길)에는 뜬다리 부두 복원과 호원시설 정비에 따른 항만 경관 회복, ‘뜬다리 부두(부잔교)-상옥창고-철도-미곡창고’를 체험할 수 있는 문화교육의 장 조성, 상옥창고 옛터에 친수공간 조성, 철도 보수 후 활용 등이 포함돼 있다.
현재 일제강점기 블록은 진포해양테마공원 및 공영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문제는 이곳 시설이 역사문화경관과 전혀 어울리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
지난 2008년 문을 연 진포해양공원은 총 49억 원을 들여 2만3000여㎡의 부지에 군산항과 우리 군(軍)의 역사를 알리고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조성된 곳이다.
이곳 공원에는 4200t급 해군 상륙함을 비롯해 전투기·정찰기·수송기·장갑차 등 1950년대를 전후해 우리 군(軍)에서 사용됐다 폐기된 각종 장비가 전시돼 있다.
그러나 내항 역사문화공간 종합정비와 관련 문화재 위원들은 “(진포해양공원이) 근대역사공간과 맞지 않는다 ”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용역에서도 이 같은 내용 등이 받아들여 퇴역 군·장비를 국방부에 반환조치하고 나머지 공간은 상옥창고와 미곡창고를 재현해 내항 거점시설로 활용해야 한다는 방안을 내놨다.
다만 시는 진포해양공원의 규모가 큰데다 막대한 철거비용은 물론 논란의 소지도 나올 수 있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내항 역사문화공간이 지역 관광 발전에 기여할 사업인 것은 맞지만 용역대로 진포해양공원을 쉽게 철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담당 부서 등과 충분히 논의하고 시민·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해 결정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군산=이환규 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