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맞이
12일 추모식, 13~14일 전시회...풍남문 광장서
14일 익산역 광장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도 추모식
"내 팔을 끌고 이리 따라오라고, 따라간다고 하겠어요? (중략) 결국은 그야말로 참 계집애가 이 꽉 물고 강간을 당하는...... 그 참혹한...... 말이 나오지 않는 것 같아요. 못다 하겠어. 이때 이것은 알아야 합니다. 알아야 하고 과거에 이런 일이 있었으니까."
1991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최초로 피해 사실을 공개 증언하고 일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고 김학순(1924∼1997) 할머니가 한 말이다. 8월 14일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기림의 날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국내외에 알리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기 위해 국가기념일로 제정했다.
전북여성단체연합이 오는 12일 전주 풍남문 광장에서 세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맞이 <평화로 연결하다 "함께 외치는 평화!"> 추모식과 전시회를 연다. 전시는 13, 14일.
12일 오후 5시에 추모식을 열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추모시 낭송, 전북대 겨레하나의 '바위처럼' 외 1곡, 탈춤 <할머니와 호랑이> 특별 공연 , 헌화 등 추모 행사를 진행한다. 13, 14일 전주 풍남문 광장 한쪽에서 개최되는 전시는 일본군 성 노예제 문제, 전북 지역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생존자의 이야기, 추모시, 추모작품 등을 전시한다. 역사 부정 세력에 맞서 여성에 대한 모든 폭력을 근절해 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은 행사다.
또한 14일 오후 4시 30분 익산역 광장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식이 열린다. 이다은 소리꾼의 판소리와 원음합창단 공연, 조상익 교수의 색소폰 공연, (사)한국생활음악협회의 오카리나 연주 등 다채로운 공연과 송용희 시인의 시 낭송, 송정화 동그라미 플러스 대표와 김현준 원광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소감문 낭독도 진행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