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 중 전북은행 현금배당 2번째로 낮아
JB금융지주 전북은행이 코로나19 이후 사상 최대 이익을 냈지만 사회공헌과 현금 배당에는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은행은 당기이익 대비 사회공헌금액 비율이 6개 지방은행 중 3번째에 머물렀으며 현금 배당은 국내은행 중 2번째로 낮았다.
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의원이 은행연합회 사회공헌활동 보고서와 금융감독원 공시 실적 등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19개 국내은행의 지난해 당기 순이익 대비 사회공헌금액 비율은 -1.26∼13.59% 수준이었다.
적자(-7960억원)인 씨티은행을 제외하고 지난해 흑자를 낸 18개 은행 가운데 사회공헌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은행(13.59%)이었다.
5대 시중은행 중에서는 NH농협은행(12.26%)이 가장 높았고 신한은행(6.74%), KB국민은행(6.32%), 우리은행(6.29%), 하나은행(5.71%) 순으로 저조했다.
사회공헌 비율이 가장 낮은 은행은 카카오뱅크(0.15%)였으며 카카오뱅크와 같은 인터넷은행인 케이뱅크도 0.31%에 머물렀다.
사회공헌금액 비율이 시중은행이나 인터넷은행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지방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 등 JB금융지주 내 은행 계열사들이 다소 저조하게 나타났다.
전북은행은 지난해 당기이익으로 1613억원을 거둬들여 182억원을 사회공헌금액으로 썼다.
6개 지방은행 가운데 지난해 당기이익대비 사회공헌금액 비율을 보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제주은행과 부산은행(12.80%)에 이어 전북은행(11.28%)이 3번째, JB금융지주 계열사인 광주은행(11.09%)은 4번째에 머물렀다.
주주에게 이익을 환원하는 현금 배당은 전북은행이 다른 은행들 보다 낮았다.
전북은행은 지난해 당기이익의 21.3%인 345억원을 현금 배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19개 국내은행의 당기이익 대비 현금 배당 비율은 SC제일은행(65.1%)이 가장 높았고 우리은행(54.6%), 경남은행(49.5%), 부산은행(47.9%), NH농협은행(47.4%) 순이었다.
전북은행은 현금 배당이 없는 인터넷은행과 적자인 씨티은행을 제외하고 국내은행과 지방은행을 통틀어 제주은행(17.3%) 다음으로 낮았다.
윤 의원은 “최근 2년여간 코로나로 생활고, 자금난에 허덕인 가계와 기업이 대출에 매달리면서 은행과 금융지주의 이자 이익이 역대 최대 규모로 급증했다”며 “은행들이 늘어난 이익으로 내부 임직원의 급여와 성과급만 늘리고 말로만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외칠 게 아니라 공익 차원에서 더 적극적으로 이익을 사회에 환원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