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기준 대비 542명 늘어 전북권 4대도시 웅비 원동력 확보
김제시의 차별화된 ‘김제형 인구정책’이 꾸준한 인구 증가의 주 요인이 되고 있다.
시는 지난해 12월 한달 동안 98명이 또다시 증가해 전년 대비 542명이 늘어 2022년 12월말 인구수가 8만1455명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이는 매년 1500여명정도 인구가 급감하던 양상과는 다르다. 민선8기 정성주호 출범이후 청년층과 장년층의 인구유입으로 급격한 자연감소(-838명)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하반기들어 인구수가 늘면서 지역 미래발전 원동력을 확보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시의 인구 증가는 지난해 하반기 동안 미래발전에 중차대한 역할을 하는 청년층(만18세~39세) 인구가 1만4214명에서 1만4493명으로 279명이 증가해 큰 의미가 있다.
시의 인구 증가 추세는 국내 인구가 2019년 11월 이후 계속 감소하고, 전북도내 주요 시 단위 인구 수도 2022년 1400명에서 1500명 정도 각각 감소한 것과 비교해 볼 때 이례적이다.
안정적 청년정착을 위해 결혼부터 출산·양육·교육 지원, 신혼부부 주거지원 3종 지원정책, 효행장려금 등 전 생애에 걸친 인구정책들이 하나로 어우러진 패키지 형태로 지원, 타 시군보다 다양한 정책을 펼친 결과로 보인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앞으로 축소사회 대응과 김제시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전북권 4대도시 초석 마련을 위한 인구정책 프로젝트’ 및 ‘청년농 인구유입 새만금 농생명용지 내 임대형 스마트팜 연계사업 발굴’, ‘지방소멸대응기금 신규사업 발굴추진’ 등의 특색있는 인구정책을 펼쳐나간다는 계획이다.
정성주 김제시장은 “올해도 ‘전북권 4대도시로 웅비하는 김제’실현을 위해 문화, 교육, 일자리, 정주여건 개선, 생활 인구확대 등 모든 분야에서 김제시 전 직원이 각자의 위치에서 각인의 능력을 최고도로 발휘하여 적극적이고 차별화된 김제형 인구정책을 펼쳐나가 김제의 잠재력을 현실로 극대화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