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물가 지난해 5% 상승 통계불구 소비자 체감물가는 20% 이상 올라
금리 상승과 원금균등 상환 대출조건으로 월수입을 넘는 상환금액도 발생
대출 금리와 소비자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서민가계가 휘청거리고 있다.
통계상 소비자 물가상승에 비해 소비자들이 실제 느끼는 체감물가는 이보다 몇 갑절 넘게 오르면서 서민들의 삶이 더욱 팍팍해지고 있다.
9일 통계청이 밝힌 지난 해 12월 기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북지역의 소비자 물가지수도 5.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IMF 외환 위기였던 지난 1998년 7.5%에 이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석유류가 23.7%로 가장 많이 올랐고 전기·수도·가스는 11.8% 상승했다. 농축수산물은 지난해 대비 2.8% 상승했는데 농산물은 1.7%, 수산물 3.2%, 축산물이 4.5% 각각 상승해 안 오른 게 없었다.
서비스는 지난해 대비 3.6% 상승했는데 집세는 0.7%, 공공서비스 1.4%, 개인서비스는 5.1% 상승했다.
하지만 서비스 요금에 대한 소비자들이 실제 느끼는 체감물가는 20% 이상 오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우선 세탁요금이 8840원으로 1년 전(7340원)보다 20.4% 올랐고 커트와 파마, 염색 등 미용요금도 30% 이상 올랐다.
엔진오일 교체(10.4%), 세차료(8.2%) 등 통계상 수치보다 실제 서비스 품목 가격 상승이 더욱 큰 폭으로 올랐고 간병도우미료(9.0%)는 이용료가 오른 데다 구인난까지 겹치면서 가격이 더욱 오를 전망이다.
여기에 새해부터 공공요금인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이 동시에 인상돼 전기요금은 4인 가구 기준으로 평균 월 1535원, 가스요금은 가구당 월 2220원의 부담이 각각 늘어났다.
오는 10월에는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이 또 동시에 인상될 전망이어서 철도, 우편, 수도요금 등 공공요금의 줄줄이 인상이 불가피해졌다.
이보다 서민들을 가장 힘들게 하는 것은 금리인상이 우선적으로 꼽힌다.
은행연합회가 집계한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최저 연 5.86%에서 최고 8.29%로 지난 해 같은 기간에 비해 2배 이상 올랐고 주택담보 평균대출 금리도 최저 연 4.53%에서 최고 6.47%로 지난 해 보다 40% 가까이 상승했다.
저축은행 등 제2 금융권의 경우 신용대출 기준 최저 9%에서 최고 18.55%로 IMF시절을 방불케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집을 담보로 은행권에 근저당을 설정하고 돈을 빌린 서민들이 지난 해 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금융비용 때문에 생계유지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지난 정권의 부동산 규제 정책으로 주택담보 대출이 거치기간 없이 원금균등 상환으로 이뤄지면서 급여를 웃도는 급액을 매달 상환해야 하는 경우까지 발생하면서 빚을 갚기 위해 빚을 내야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지만 급여는 올해 들어 5%인상된 최저임금에 맞춰 전북지역 대부분의 기업들도 최저임금 상승률 수준으로 급여가 인상되거나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아 벼랑 끝으로 몰리는 서민들이 늘고 있다.
전북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사상 유례없는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기업들이 이윤을 내지 못해 급여는 동결 수준이지만 물가는 크게 올라 ‘월급만 빼고 다 올랐다’는 하소연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며 “서민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우선적으로 대출금의 원금균등 상환 조건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